분류 전체보기 1006

임자일주(壬子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임자일주(壬子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임자일주 기본성향임자일주는 십이운성이 제왕(帝王), 십신 상으로는 겁재(劫財)에 해당합니다. 매사에 의욕적이고 진취적인 기품이 있으며 속이 깊고 과묵한 사람이 많습니다. 논리 정연하고 통솔력과 포용력이 있지만 화를 내면 절제가 되지 않는 것이 단점입니다.또한 일지에 겁재를 두었기 때문에 매사에 은근히 경쟁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살로 보자면 양인에 해당하기에 극단성과 폭력성을 겸비한 것도 임자의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임자일주 영..

신해일주(辛亥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신해일주(辛亥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신해일주 기본성향신해일주는 십이운성 상으로는 목욕(沐浴), 십신 상으로는 상관에 해당합니다. 천간 신은 가을의 결실 추상을 의미하고 해는 초겨울의 기운을 의미하므로 가을과 초겨울이 만나서 금백수청을 이룬 모양이라 천성이 선량하고 재능이 있는 사람이 많습니다.  지지 상관은 모든 일에 융통성과 재능을 발휘하게 하므로 두뇌가 총명하고 재능도 따릅니다. 재치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부드러운 성품으로 대인관계에 있어서 상대방을 잘 배려하지만 지지 상관은 재..

신유일주(辛酉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신유일주(辛酉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신유일주 기본성향신유일주는 십이운성이 건록(建祿), 십신 상으로는 비견(比肩)에 해당합니다. 강직하면서도 깔끔하고 예술적 자질, 기술적 장인정신이 뛰어납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지만 고집과 자존심으로 손해를 많이 보는 일주입니다.  천간의 신금은 가을의 결실, 추상과 같은 기운을 의미하고 지지의 유금 또한 가을의 결실을 의미하므로 천지에 가을로 가득찬 일주입니다. 만물을 결실맺게 하는 서릿발 같은 기운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많습니다. 일지의 비..

신미일주(辛未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신미일주(辛未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신미일주 기본성향신미일주는 십이운성 상 쇠(衰)에 해당하고, 십신으로는 편인(偏人)에 해당합니다. 이해심이 강한 외유내강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존심이 유난히 강합니다. 또한 분석력이 뛰어나고 의리를 중시하지만 지나치게 냉정하여 인심을 잃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지에 편인을 둔 일주 답게 재주와 재능을 발휘하는 직업을 삼게 됩니다. 또한 십이운성과 지장간 안의 편재의 영향으로 마음 속으로 일확천금을 꿈꾸는 사람이 많습니다.     ..

신사일주(辛巳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신사일주(辛巳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신사일주 기본성향신사일주는 십이운성 상으로는 사(死)에 해당하고, 십신 상으로는 정관에 해당합니다. 신의가 두터워 남의 말에 잘 흔들리지 않습니다. 결단력이 있어 매사에 끊고 맺음이 분명합니다.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는 사람이 많으며 완벽주의의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이미지를 중시하며, 예리한 직관력을 가진 사람이 많습니다. 하지만 특유의 날카로움으로 인해 대인관계에 있어 충돌이 잦은 일주입니다. 신사일주 의리, 주관신사일주는 지장간에..

신묘일주(辛卯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신묘일주(辛卯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신묘일주 기본성향신묘일주는 십이운성 상으로는 절(絶)에 해당하고, 십신 상으로는 편재(偏財)에 해당합니다. 신묘일주는 재능이 뛰어나고 성실합니다. 또한 꼼꼼하고 알뜰한 성격으로 평범하고 소박한 행복을 추구합니다. 호탕하고 시원시원한 면모도 있지만 적극성이 떨어져 행동보다 말이 앞서기도 합니다. 천간 辛(신금)은 가을의 결실과 가을 서리의 기운을 의미하고 卯(묘목)은 완연한 봄을 의미합니다. 계절의 기운으로 보면 가을과 봄이 만나는 모양입니다...

신축일주(辛丑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신축일주(辛丑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신축일주 기본성향신축일주는 십이운성 상으로는 양(養)에 해당하고, 십신 상으로는 편인에 해당합니다. 일지에 편인을 두었기 때문에 지혜와 지모가 뛰어나고 손재주가 정밀합니다.  축토의 영향-한겨울 섣달의 기운이라 만물이 얼어붙어 안으로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모양-으로 요행을 바라지 않는 성실파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노력만큼 성과가 따르지 않아 좌절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습니다.  신축일주 강한 편인의 힘신축일주의 지장간을 보면 辛(신금)-비견이 ..

경술일주(庚戌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경술일주(庚戌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경술일주 기본성향경술일주는 십이운성 상으로는 쇠(衰)에 해당하고, 십신 상으로는 편인에 해당합니다. 경술일주는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정도를 걷고자 하는 의지가 충만합니다. 예체능쪽으로 재주가 발달되어 있고 자기 확신과 자기 과시가 만만치 않은 일주입니다.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매우 섬세하고 치밀한 시각과 판단력이 있으며 창조적이고 장인정신을 가진 사람이 많습니다. 하지만 종종 남의 의견을 무시하는 행동으로 반감을 사기도 합니다. 경술..

경신일주(庚申日柱) <일주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일주론' 중에서 경신일주(庚申日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일주론에 관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4/05 - [사주명리학/일주론] - 일주란? 경신일주 기본성향경신일주는 십이운성 상으로는 건록(建祿)에 해당하고, 십신 상으로는 비견에 해당합니다.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정도를 걷고자 하는 의지가 충만합니다. 예체능 쪽으로 재주가 발달되어 있고 자기 확신과 자기 과시가 만만치 않습니다. 강한 서리와 같은 가을 기운으로 인해 기와 의리가 강하고 ​모든 일에 경쟁의 논리로써 일을 추진해 내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상 지도적인 위치에서 군림하기 좋아하며 승부욕이 뛰어난 일주입니다.  ​경..

<24절기> 소만(小滿)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소만(小滿)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만(小滿)은 2019년 5월 21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5월 21일은 소만(小滿)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소만(小滿)는 소만일(5월 21일)부터 망종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소만(小滿)이라고 합니다.  소만(小滿) 개요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21일 무렵 태양의 황경(黃經)이 60도에 이르렀을 때 소만(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