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61

연해자평 1. 論논 起기 玉堂옥당 天乙貴人천을귀인

甲戊庚牛羊 甲戊庚은 丑未 乙己鼠猴鄕乙己는 子申 丙丁猪雞位 丙丁은 亥酉 壬癸兎蛇藏 壬癸는 卯巳 六辛逢馬虎 辛은 午寅 此是貴人方 命中如遇此 定作紫微郞이것이 귀인의 방方이다. 명 중에 이것을 만나면 궁궐의 사람이 된다. (十干臨十支, 皆貴人所臨之方, 惟辰戌二宮, 貴人不臨, 何也, 殊不知辰戌乃魁罡惡殺之地, 天乙不臨, 所以不爲貴也)(10간은 10지에서 모두 귀인이 임한다. 다만 辰과 戌에서만 귀인이 임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진술辰戌은 괴강 악살이 임하는 곳이 되기 때문에 귀기가 임하지 않는 것이다.) 『 註釋:言本乃主天之神而曰天乙,臨之方有惡煞相渾,或落空亡之地,不爲貴也. 』『 주석 : 사주 중에 하늘의 神이 있는 것을 천을 귀인이라고 하고, 천을귀인이 임하면 악살惡煞이 꼼짝 못하게 된다. 다만 공망이 되면 귀하지..

연해자평 1. 論논 起通法기통법

假如甲子月寅時生, 卯上安命, 가령 甲子月寅時生의 경우 卯가 있으면 편안한 命이 된다. 取甲己之年丙作首起丙寅, 卽丁卯是通甲己년은 丙에서 시작하여 丙寅月이 되므로 丁卯가 通이 된다. (其法寅卯相通, 辰巳相通, 午未相通, 申酉相通, 戌亥相通, 子丑相通是也)(寅卯가 상통이고 辰巳상통, 午未상통, 申酉상통, 戌亥상통, 子丑상통이 된다.) [ 註釋 :通者,通月中之氣而相貫串而寅卯未氣相通.][주석 : 通은, 月中의 氣가 서로 관통하는 것으로 즉 寅卯未의 氣가 서로 통한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기통법입니다. 원문의 주석에도 나와있듯이 기통법이라고 하는 것은 월지와 서로 짝꿍이 되는 지지가 있을 경우 吉하다고 보는 관법입니다. 월지와 짝꿍을 이루는 지지의 조합으로는 자..

연해자평 1. 論논 起變法기변법

取時上天干合處, 時下地支合處.時의 천간이 합하는 것을 취하고, 時의 지지가 합하는 것을 취한다. (假如丙寅時, 取天干丙與辛合,예를 들면 병인시에 천간 병화가 신금과 합을 하고 地支寅與亥合, 卽辛亥是也, 지지의 인목이 해수와 합을 하여, 신해가 이것이 된다. 如柱中天干無辛字, 地支無亥字, 乃只虛邀爲是, 不可拘疑)사주 원국 천간에 辛이 없고, 지지에 亥가 없으면 구애 받을 필요가 없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기변법입니다. 기변법은 시주의 천간과 지지가 동시에 합하는 연주, 월주, 일주가 있을 때를 말합니다. 기준이 시주이며, 시주를 기준으로 시주와 합을 하는 "주"가 있으면 일단 좋게 보는 것입니다. 기식법에서 설명하였지만 合의 기준은 천간의 경우 천간..

연해자평 1. 論논 起息法기식법

日主上天干 合處. 地支合處是也.일주의 천간이 합하는 곳, 일주의 지지가 합하는 곳이 기식법이다. (假如甲子日生人, 天干年月時有己字, 乃甲與己合, 又取地支年月時有丑字, 卽己丑也, 餘皆倣此例而推, 此胎息之由)(만약 갑자일에 태어난 사람이 천간의 연월시에 기토가 있다면, 갑기합이 된다. 지지도 동시에 연월시에 축토가 있다면 자축합이 되어, 기축(己丑)이 되는 것을 말한다. 남은 것은 이 예에 준한다. 이것을 기식법이라 한다.) 『 註釋 : 如推貴命先從胎息之吉日,相生扶者貴, 相剋者貧.』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기식법"입니다. 기식법은 간단히 말해 일주의 천간과 지지와 동시에 합하는 연주, 월주, 시주가 있을 때를 말합니다. 合의 기준은 천간의 경우 천간합(天干合)..

사주 팔자의 구성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사주 팔자의 구성"이라는 제목으로, 어떤 기준과 원리에 의해 사주팔자가 구성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기초학습1. 사주 팔자는 4개의 기둥, 8개의 글자라는 뜻입니다. 2. 4개의 기둥은 각각이 연, 월, 일, 시를 의미합니다. 3. 기둥은 하늘과 땅을 하나씩 가지고 있습니다. 하늘을 천간, 땅을 지지라고 명명합니다. 4. 하나의 기둥에 천간에 해당하는 기호가 하나, 지지에 해당하는 기호가 하나 위치합니다. 5. 하나의 기둥에 기호가 2개이므로 4 × 2 = 8 개의 기호로 연, 월, 일, 시를 나타냅니다. 6. 연을 나타내는 기둥을 연주, 월을 나타내는 기둥을 월주, 일을 나타내는 기둥을 일주, 시를 나타내는 기둥을 시주라고 합니다. 연주..

연해자평 1. 論논 起胎法기태법

推法但從本生月前四位是也. 기태법은 태어날 달에서 앞 4위를 따진다. 其法如己巳月, 則前申上是胎, 만약 己巳기사월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申이 태가 된다. 却數退回一位於未上, 將生月天干己字喚起己未, 數至庚申, 乃是受胎之月也. 餘皆倣此.申의 다음은 未가 되고 생월의 천간이 己이니, 未의 천간이 己가 되어 己未가 된다. 己未 다음은 庚申이니, 庚申이 수태한 월이 된다. 남은 것은 이에 준한다. (胎元受胎之月也, 子平有曰, 先推胎息之由, 次斷變通之理, 精命者不可不用此例也.)태원은 수태한 달이다. 서자평이 말하기를, 먼저 태식으로 추리하고, 다음에 변통으로 추리하는 것이 이치라 하였다. 정밀한 명은 이 예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녕하세요."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기태법"에 대..

연해자평 1. 論논 日上일상 起기 時例시례

甲己還加甲甲일이나 己일은 甲子시로 시작하고, 乙庚丙作初乙일이나 庚일은 丙子시로 시작하고, 丙辛從戊起丙일이나 辛일은 戊子시로 시작하고, 丁壬庚子居 丁일이나 壬일은 庚子시로 시작하고, 戊癸何方發 壬子是眞途戊일이나 癸일은 壬子로 시작한다. 其法以甲己日從子上起甲子, 至人本生時止, 餘皆倣此.그 방법은 갑기일의 경우 子時의 시간(時干)에 갑목을 붙이는 것이다. 나머지도 이에 따른다. 안녕하세요."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어제에 이어 사주명식 세우는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즉, 시간(時干)을 구하는 공식인데요. 사주를 뽑을때, 연주와 일주는 60개의 단위로 돌아갑니다. 정해져 있는 것입니다. "2019년=기해년" 하고 정해져 있습니다. 59년후가 또 기해년이 됩니다. 그것을 기념해..

연해자평 1. 論논 年上년상 起기 月例월례

甲己之年丙作首甲己년은 丙이 처음이 되고, 乙庚之歲戊爲頭乙庚년은 戊가 처음이 되고, 丙辛之歲尋庚上丙辛년은 庚이 처음이 되고, 丁壬壬位順行流丁壬년은 壬이 처음이 되어 순행하여 나아간다. 若言戊癸何方發戊癸년은 어떻게 되느냐하면 甲寅之上好追求.甲寅으로 대입하여 계산한다. 其法假如甲己年生, 그 방법을 예로 들면, 甲년이나 己년 생이면, 寅上起丙寅, 以正月爲丙寅,지지 寅위에 丙가 올라가, 음력 1월이 丙寅월이 된다. 二月爲丁卯, 一順數去, 至其所生之月止, 一月一位順行.또한 음력 2월은 다음 순서인 정묘월이 된다. 그렇게 한단계씩 순서대로 나아가 월간을 만드는 것이다. 안녕하세요."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년상 기 월례"입니다. 제목 자체가 좀 생소합니다. 하지만 내..

연해자평 1. 五行오행 發用발용 定例정례

안녕하세요."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오행 발용 정례"입니다. 지난 시간에 언급되었던 십이운성을 정리해 놓은 부분입니다. 정리의 기준은 천간이 아니라 지지의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표안의 십이운성 한자는 한글자로 요약자가 들어가 있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장생 = 生목욕 = 沐관대 = 冠건록, 임관(臨冠) = 祿제왕 = 旺쇠 = 衰병 = 病사 = 死묘, 묘고(墓庫) = 墓절 = 絶태, 포태(胞胎) = 胎양 = 養 십이운성은 지금도 역술가에 따라 여러가지 용어가 쓰이고 있는데, 연해자평도 한 사람이 오롯이 쓴 책이 아니기 때문에 중간중간에 용어와 표기가 달라집니다. 일종의 현대판 위키백과라고 생각하셔도 좋겠습니다. 주로 서자평이란 분이 썼지만 여러 세대를 거치고 여러 ..

연해자평 1. 論논 天干천간 生旺생왕 死絶사절(2)

註釋 : 長生者,言物在於發生而出,如人受父母精血延懷十月而生也.주석 : 장생은 물질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것이고, 사람은 부모에게 정혈을 받은 것이다. 沐浴者,乃生之初,在地正, 在天弱之中,如人生出沐浴盆中,未可言吉。목욕은 막 태어나 땅에 올바르게 서는 것으로 약한 상태이다. 사람이 태어나 목욕을 하는 것인데, 길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冠帶者,物之長成道,能運用,如人之頂冠束帶,以召其用.관대는 물질은 자라나는 것이고, 사람은 관대를 쓰고 비로소 어른이 되는 것이다. 臨官者,言物盛,如人之用謀爲而有卓立也.임관(건록)은 기운이 왕성한 것이다. 사람이 지략을 사용하여 스스로의 세계를 이룩하는 것이다. 帝旺者,言物有操持可立,如人之受君祿,乘權衡任天位,精神康泰,得其所以.제왕은 기운으로 보면 강하여 스스로 서고, 사람으로 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