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11

도화살(桃花煞)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신살(神殺) 중에서 도화살(桃花煞)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화살(桃花煞)단어의 기본의미 : 많은 사람으로부터 주목을 받는 힘 적용 : 자오묘유(子午卯酉) 중 한 글자가 지지에 있고, 그 글자의 다음 계절을 의미하는 지지(삼합)가 추가로 있을 경우 도화살에 해당 도화살은 자오묘유(子午卯酉)의 기운입니다. 즉 지지에만 해당하는 신살로서, 천간은 고려하지 않고 지지만 고려합니다.  도화살은 일단 자오묘유(子午卯酉) 중 한 글자가 지지에 있어야 합니다. 그 후 해당 글자의 다음 계절을 의미하는 지지(삼합)가 추가로 지지에 있을 경우 도화살이 성립합니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지지에 子(자수)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子(자수)는 계..

연해자평 1. 論논 干支 간지 字義자의 (2)

子孶也, 陽氣始萌, 孶生於下也. 子는 낳을 자孶에서 글자를 따왔다. 양기가 비로소 움이 트는 것이고, 낳는다는 것은 아래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丑紐也, 寒氣自屈曲也. 丑은 맺을 뉴紐에서 글자를 따왔다. 차가운 기운이 이리저리 굽어지고 꺽이는 것을 의미한다. 寅髕也, 陽氣欲出, 陰尙强而髕演於下. 寅은 슬개골 빈髕에서 글자를 따왔다. 양기가 나타나고자 하지만 음기가 강해서 아래로 퍼지는 것을 의미한다. 卯者, 冒也, 萬物冒地而出. 卯는 무릅쓰고 나아갈 모冒에서 글자를 따왔다. 만물이 땅에서 무릅쓰고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辰伸也, 物皆舒伸而出. 辰은 펼 신伸에서 글자를 따왔다. 물질이 펴져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巳, 已也, 陽氣畢布巳矣. 巳는 이미 이已에서 글자를 따왔다. 양기가 이미 펼쳐져 완성..

삼복(三伏) - 초복, 중복, 말복- 총 정리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삼복(三伏) - 초복, 중복, 말복- 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삼복(초복,중복,말복) 개요 삼복 :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절기로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킴. 초복(初伏) : 기준이 하지(夏至), 하지로부터 세번째 경일(庚日) 중복(中伏) : 기준이 하지(夏至), 하지로부터 네번째 경일(庚日) -천간은 10개으므로 초복과 중복은 10일 차이가 남- 말복(末伏) : 기준이 입추(立秋), 입추로부터 첫번째 경일(庚日) 삼복(초복,중복,말복) 과 음양오행 동양에서는 우주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다섯 가지로 보고 ..

연해자평 1. 論논 干支 간지 字義자의 (1)

群書攷異曰, 고전에 의하면 甲者坼也, 言萬物剖符甲而出也. 甲은 탁(열다)이라 한다. 만물의 껍질이 터지면서 甲이 터져 나온다는 말이다. 易曰, 百果草木皆甲坼.주역에서는 甲을 일컬어 백과초목을 모두를 열어젖히는 힘이라 하였다. 乙, 言萬物初生, 曲孽而未伸也.乙은 만물이 처음 태어나는 것이다. 아직 넓게 펴지지는 않았지만 만물이 뚜렷하게 나타난 상태이다. 丙, 言萬物炳然著見.丙은 만물이 빛을 비추듯 밝게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丁, 言萬物壯實支形, 故邦國圖籍曰成丁.丁은 나무에 가지가 무성해지듯 만물이 장성해지는 것을 말한다. 고전에 의하면 장정이 되는 것이라 하였다. 戊, 茂也, 言物之茂盛, 故漢志曰, 孽戊於戌是也.戊는 무성함이다. 만물이 무성한 것을 말한다.  己, 紀也, 言物有形可紀識也.己는 근본이다...

역마살(驛馬煞)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신살(神殺) 중에서 역마살(驛馬煞)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마살(驛馬煞)단어의 기본의미 : 변화와 변동을 향한 강한 힘 적용 : 인신사해(寅申巳亥) 중 한 글자가 지지에 있고, 그 글자의 이전 계절을 의미하는 지지(삼합)가 추가로 있을 경우 역마살에 해당  역마살은 인신사해(寅申巳亥)의 기운입니다. 즉 지지에만 해당하는 신살로서, 천간은 고려하지 않고 지지만 고려합니다.  역마살은 일단 인신사해(寅申巳亥) 중 한 글자가 지지에 있어야 합니다. 그 후 해당 글자의 이전 계절을 의미하는 지지(삼합)가 추가로 지지에 있을 경우 역마살이 성립합니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지지에 寅(인목)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寅(인목)은 계절..

연해자평 1. 論논 十二支십이지 相刑상형

寅刑巳, 巳刑申, 申刑寅(爲恃勢之刑)인사신寅巳申은 서로 묶이는 관계이다. (이를 시세지형-힘을 믿고 날뛰는 형-이라 한다.) 丑刑戌, 戌刑未, 未刑丑(爲無恩之刑)축술미丑戌未는 서로 묶이는 관계이다. (이를 무은지형-은혜를 모르는 형-이라 한다.) 子刑卯, 卯刑子(爲無禮之刑)자묘는 서로 묶이는 관계이다. (이를 무례지형 혹은 무찰지형-예를 모르는 형-이라 한다.) 辰午酉亥, 自刑之刑.辰辰 午午 酉酉 亥亥 는 스스로가 묶이는 관계이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삼형(三刑)입니다. 연해자평에서는 상형이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지지 삼형(地支 三刑)이라고 불리는 개념입니다.  시세지형, 무은지형, 무찰지형을 삼형이라고 하고, 여기에 자형을 추가해서 지지 삼..

연해자평 1. 論논 十二支십이지 相穿상천

『 註釋 : 相穿爲害,犯此者損六親,不作困蹇而論.』주석 : 상천은 해가 된다. 상천하게되면 육친이 손상되며, 곤궁함을 이겨낼 수 없다.   子未 相穿, 丑午 相穿, 寅巳 相穿, 卯辰 相穿, 申亥 相穿, 酉戌 相穿.子未가 서로 해를 입힌다.丑午가 서로 해를 입힌다. 寅巳가 서로 해를 입힌다. 卯辰가 서로 해를 입힌다. 申亥가 서로 해를 입힌다. 酉戌가 서로 해를 입힌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연해자평 읽기, 오늘은 상천(相穿)에 관한 내용입니다. 상천은 육해살(六害殺), 육해(六害), 상천살(相穿殺)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습니다. 현대에는 해害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며 육해(六害)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어의 뜻을 보면 상천(相穿)은 서로 뚫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

화개살(華蓋煞)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신살(神殺) 중에서 화개살(華蓋煞)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개살(華蓋煞)단어의 기본의미 : 고독한 명예와 심오한 문장 적용 : 진술축미(辰戌丑未) 중 한 글자가 지지에 있고, 그 글자와 삼합을 이루는 지지가 추가로 지지에 있을 경우 화개살에 해당함. 화개살은 진술축미(辰戌丑未)의 기운입니다. 즉 지지에만 해당하는 신살로서, 천간은 고려하지 않고 지지만 고려합니다.  화개살은 일단 진술축미(辰戌丑未) 중 한 글자가 지지에 있어야 합니다. 그 후 해당 글자의 삼합에 해당하는 지지가 지지에 있을 경우 화개살이 성립합니다. 예를 들어, 지지에 辰(진토)가 있을 경우 辰(진토)의 삼합에 해당하는 신자진(申子辰) 중 한 글자가 있을 경우 그 辰(진토)가 화개..

<24절기> 소서(小暑)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소서(小暑)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서(小暑)는 2019년 7월 7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7월 7일은 소서(小暑)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소서(小暑)는 소서일(7월 7일)부터 대서(7월 23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소서(小暑)라고 합니다. 소서(小暑) 개요24절기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 양력으로는 7월 6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05도에 이르렀을 때  소서(小暑) 자연현상'소서(小暑)'라는 말은 '작은 더위'..

연해자평 1. 十二支십이지 相沖상충

『 註釋 : 相沖者但得有逢合則不能沖.』주석 : 상충되었다 하더라도 합合이 되면 충沖으로 보지 않는다. 子午相沖, 寅申相沖, 卯酉相沖, 辰戌相沖, 巳亥相沖, 丑未相沖.자오는 서로 충한다.인신는 서로 충한다.묘유는 서로 충한다.진술는 서로 충한다.사해는 서로 충한다.축미는 서로 충한다. (子宮癸水, 午宮丁火, 水能剋火之故也, 寅宮甲木, 申宮庚金, 因金剋木之故也, 以支中暗害爲沖, 餘倣此)子의 지장간에는 계수가 있고, 午의 지장간에는 정화가 있다. 水(계수)가 火(정화)를 극하기 때문에 충이 일어난다. 寅의 지장간 안에는 갑목이 있고 申의 지장간 안에는 경금이 있다.  金(경금)이 木(갑목)을 극하기 때문에 충이 일어난다. 지장간 안에서 은밀하게 극이 일어나기 때문에 충이 일어난다. 남은 것도 이런 원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