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자평 1. 論논 干支 간지 字義자의 (2)
- 사주명리학/고전읽기
- 2019. 7. 12.
子孶也, 陽氣始萌, 孶生於下也.
子는 낳을 자孶에서 글자를 따왔다. 양기가 비로소 움이 트는 것이고, 낳는다는 것은 아래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丑紐也, 寒氣自屈曲也.
丑은 맺을 뉴紐에서 글자를 따왔다. 차가운 기운이 이리저리 굽어지고 꺽이는 것을 의미한다.
寅髕也, 陽氣欲出, 陰尙强而髕演於下.
寅은 슬개골 빈髕에서 글자를 따왔다. 양기가 나타나고자 하지만 음기가 강해서 아래로 퍼지는 것을 의미한다.
卯者, 冒也, 萬物冒地而出.
卯는 무릅쓰고 나아갈 모冒에서 글자를 따왔다. 만물이 땅에서 무릅쓰고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辰伸也, 物皆舒伸而出.
辰은 펼 신伸에서 글자를 따왔다. 물질이 펴져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巳, 已也, 陽氣畢布巳矣.
巳는 이미 이已에서 글자를 따왔다. 양기가 이미 펼쳐져 완성된 것을 의미한다.
午, 仵也, 陰陽交相愕而仵也.
午는 짝 오仵에서 글자를 따왔다. 음양이 서로 교류하고 놀라는 것을 의미한다.
未, 昧也, 日中則昃陽向幽也.
未는 어두울 매昧에서 글자를 따왔다. 태양의 볕이 기울어져 어두워 지는 것을 의미한다.
申, 伸束以成, 故晉志曰, 萬物之體皆成也.
申은 펼 신伸에서 글자를 따왔다. 펴진것을 동여 묶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에는 만물의 몸이 모두 갖추어졌다고 말하고 있다.
酉, 就也, 萬物成熟.
酉는 이룰 취就에서 글자를 따왔다. 만물이 성숙하게 무르익었음을 의미한다.
戌滅也, 萬物滅盡.
戌 없어질 멸滅에서 글자를 따왔다. 만물이 이제 사라지는 겨울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亥, 核也, 萬物收藏皆堅核也.
亥는 씨 핵核에서 글자를 따왔다. 만물을 저장하여 씨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지난 시간에 이어 지지 글자의 유래와 뜻입니다. 어제는 푸념 비슷하게 길게 소감 같은 글을 썼으니 오늘은 필요한 것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연해자평에서 지지 12글자의 유래에 대해 먼저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未는 어두울 매昧에서 글자를 따왔다."고 하여 未(미토)가 어떤 한자에서 유래했는지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의 볕이 기울어져 어두워 지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하여 未(미토)의 뜻과 왜 어두울 매가 미토의 뿌리가 되었는지에 대해 밝히고 있습니다.
12지지를 차분히 보면 12글자 모두 바로 계절의 기운과 주역의 괘에 그 기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子,寅,巳,午,未는 주역의 괘를 바탕으로 그 유래와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한창 더울 시기인 미월(未月)-양력 7월-을 두고 어두워진다고 표현한 것은 미월의 괘가 천산둔 괘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천산둔 괘는 음과 양의 역전을 코앞에 둔 괘입니다. 아래에서부터 올라온 음이 곧 양과 대적하려 합니다.계절적으로는 뜨거운 한여름이지만 주역의 괘 상으로는 음과 양이 역전을 앞두고 있으니 어두움이 곧 다가온다고 보아 어두울 매를 쓴 것입니다.
나머지 지지는 계절의 특성을 바탕으로 그 유래와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예를 들자면 만물이 생장하는 봄의 특성으로 卯를, 만물이 소멸하는 겨울의 특성으로 戌을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십이지지의 단어의 유래가 주역의 괘와 자연현상에 있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십이지지가 자연현상(계절)을 기호로 만든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간지는 하늘에서 내려온 위대한 신의 선물이 아니라 계절의 기운을 변환한 기호일 뿐이라는 단순한 이치 말입니다.
또한 지지의 유래를 살펴보는 작업을 통해 "태어날 때 스며든 계절의 기운(우주의 기운)이 한 인간의 성향을 결정하고 운명을 이끌어간다"는 사주명리의 기본 개념을 다시 떠올려 봅니다.
또한 인간의 사주 명식 8자를 이루는 한글자 한글자가 정말 소중하다는 뼈저린 교훈도 얻어갑니다. 많은 반성과 함께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