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1056

<십이운성 개념 정리>십이운성, 쇠(衰)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의 열 번째 시간입니다. 이제 끝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지난 시간까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다음, 절(絶)~제왕(帝王)까지 다루었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시면 더 좋겠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오늘은 십이운성의 열두 단계 중 쇠(衰)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쇠(衰)는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 상 제왕(帝王)의 다음이며, 병(病)의 이전에 해당합니다. 건록(健祿)에서 세상과 투쟁한 생명은 마침내 제왕(帝王)에 이르러 왕좌에 오릅니다. 이제 쇠(衰)의 단계에 이르러 내리막을 걷게 되며 다음으로 병(病) 단계에 와서는 병상에 눕..

<십이운성 개념 정리>십이운성, 제왕(帝王)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의 아홉 번째 시간입니다. 지금까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에서 출발하여 '절(絶)부터 ~ 건록(健祿)'까지 다루었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카테고리를 살펴보시고 천간과 지지 항목을 보셔도 좋고,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의 단계 중 제왕(帝王)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왕(帝王)은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 상 건록(健祿)의 다음이며 쇠(衰)의 이전에 해당합니다. 관대(冠帶)에서 제 힘을 마음껏 뽐낸 생명은 건록(健祿)에서 관록을 갖추고 세상을 이겨냅니다. 그리고 드디어 제왕(帝王)에 이르러 왕좌에 오른..

<십이운성 개념 정리>십이운성, 건록(健祿)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그 여덟 번째 시간입니다. 지금까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 절(絶), 태(胎), 양(養), 장생(長生), 목욕(沐浴), 관대(冠帶)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검색을 통해 여기로 바로 오신 분들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시면 좋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의 단계 중 건록(健祿)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건록(健祿)은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 상 관대(冠帶) 다음이며, 제왕(帝王)의 이전에 해당합니다. 목욕(沐浴) 단계에서 활발하게 사회 활동을 시작한 생명은 관대(冠帶)에서 제 힘을 마음껏 뽐냅니다. 그리고 건록(健祿)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을 이겨낸 다음..

<십이운성 개념 정리>십이운성, 관대(冠帶)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의 일곱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 절(絶), 태(胎), 양(養), 장생(長生), 목욕(沐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의 열두 단계 중 관대(冠帶)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관대(冠帶)는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 상 목욕(沐浴) 다음이며, 건록(乾祿) 이전에 해당합니다. 장생에서 세상에 첫 발을 디딘 생명은 목욕 단계에서 특유의 호기심으로 세상과 활발히 교류해 나갑니다. 그리고 관대(冠帶)에 이르러 스스로 자기만의 목소리를 낸 다음 건..

<십이운성 개념 정리>십이운성, 목욕(沐浴)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그 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십이운성의 기본개념, 절(絶), 태(胎), 양(養), 장생(長生)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검색을 통해 여기로 바로 오신 분들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시면 좋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의 단계 중 목욕(沐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욕(沐浴)은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 상 장생(長生) 다음이며, 관대(冠帶) 이전에 해당합니다. 양(養)에서 안전하게 길러진 생명은 장생(長生)에서 세상에 첫 발을 내디딥니다. 그리고 목욕(沐浴) 단계에서 세상과 활발하게 교류한 다음 관대(冠帶)에 이르러 제 목소리를 갖추게 됩니다...

<십이운성 개념 정리>십이운성, 장생(長生)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그 다섯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시간까지 절(絶), 태(胎), 양(養)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검색을 통해 처음 여기로 오신 분들은 먼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시면 좋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의 단계 중 장생(長生)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장생(長生)은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 상 양(養) 다음이며, 목욕(沐浴) 이전에 해당합니다. 태(胎)에서 잉태된 생명은 양(養) 단계에서 안전하게 잘 길러집니다. 그리고 장생(長生)에서 세상 밖으로 탄생한 순수한 생명은 다음 단계인 목욕(沐浴)에서 활발하게 세상과 교류해 나갑니다. 장생(長生)에 해당하는 천간과 지지는 ..

<십이운성 개념 정리> 십이운성, 양(養)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그 네 번째 시간입니다. 십이운성이 궁금해서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시면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十二運星) 양(養)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양(養)은 십이운성의 운행 순서상 절(絶)과 태(胎)의 다음이며, 장생(長生) 이전에 해당합니다. 절(絶)에서 완전히 사라진 하나의 생명이 태(胎)에서 열매맺고 양(養)에 와서 안전하게 길러집니다. 안전하게 길러진 생명은 장생(長生) 단계에 와서 세상 밖으로 탄생합니다. 양(養)에 해당하는 천간과 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십이운성을 활용하는 방법은,..

<십이운성 개념 정리> 십이운성, 태(胎)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의 세 번째 시간입니다. 십이운성이 궁금해서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을 정리한 글을 읽고 오셔도 좋겠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이란? 오늘은 십이운성의 태(胎)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태(胎)는 십이운행의 운행 순서 상 절(絶) 다음이며 양(養) 이전에 해당합니다. 묘에 갇힌 하나의 생명이 완전히 사라진 다음에 태(胎)에 이르러 다시금 생명을 맺습니다. 그리고 태(胎)에서 잉태된 생명은 다음 단계 양(養)에서 조용하고 안전하게 길러집니다. 태(胎)에 해당하는 천간과 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십이운성을 활용하여 사주를 해석하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기본적..

<십이운성 개념 정리> 십이운성, 절(絶)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곧 있으면 완연한 봄인, 춘분입니다. 나름대로 성실한 자세로 포스팅을 이어가고 있는데 아직 별다른 반응이 없습니다. 댓글도 없고 조회수도 신통치 않습니다. 하지만 집을 짓는 자세로, 기초공사를 다진다는 생각으로 묵묵히 포스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간과 지지, 십이운성의 포스팅이 마무리 되면 좀더 대중적인 소재인 일주론과 신살에 대해 포스팅을 이어갈 생각입니다. 이런 페이스로 가면 4~5월중이 될 것 같습니다. 그때쯤이 되면 이 적막한 블로그에도 사람들이 제법 북적대겠지요? 그때까지 힘을 더 내보겠습니다. 자 그럼, 오늘은 의 두 번째 시간으로 십이운성의 열두 단계 중 "절(絶)"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십이운성의 기본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습..

<24절기> 춘분(春分)

춘분(春分) 춘분의 개요24절기중 네 번째 절기 경칩과 청명의 중간에 있는 절기로 양력으로 3월 21일 전후 태양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며,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음 춘분과 자연현상춘분이 되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집니다. 음(陰)의 기운이 물러서고 양(陽)의 기운이 득세하기 시작한 기점으로 춘분을 전후하여 기온이 영하에서 영상으로 돌아섭니다. 춘분은 비로서 태양이 밤을 이기는 절기로, 만물이 기지개를 키며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합니다. 바야흐로 완연한 봄을 의미하며 온갖 생명들이 춘분을 기점으로 약동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춘분에는 온갖 목초들이 기운을 펴기 시작합니다. 밀, 보리, 풀들이 하루가 다르게 부쩍부쩍 자라고 활기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마늘도 춘분을 기점으로 새순을 올리고, 양파도 빳빳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