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996

무재사주와 무관사주의 궁합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무재사주와 무관사주의 궁합"입니다. 1. 무재사주란?무재(無財) 사주란 사주 원국에 재성의 기운이 없는 사주를 의미합니다. 사주원국 8글자에 재성을 의미하는 오행이 없으면 무재사주라고 하며, 지장간(支藏干)-지지 안에 숨어있는 천간의 요소- 안에도 재성이 없으면 순도 100%의 완벽한 무재사주가 됩니다.  2. 무재사주의 성향사주에서 없는 것은 항상 극단 모두를 생각해야 합니다. "진짜 없어 허덕댄다"와 "과도하게 집착한다."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무재사주는 재성의 기운이 없기 때문에 평상시에 재물과 인연이 없음을 암시합니다. 또한 재성의 기운이 없기 때문에 없는 재물에 집착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무재사주가 운을 잘 타..

인다신약의 사주 <실제상담사례>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3월 1일부터 개인 상담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관련된 공지를 보시고, 정성스럽게 E-메일을 보내주신 분들과 E-메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을 가져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앞으로 이 >카테고리에  실제 상담을 진행했던 사례 중에서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사례를 간추려 소개할 예정입니다. 사주 명식과 간단한 사연, 해석의 포인트 정도가 담길 예정입니다. 이론이 아닌 실제이기 때문에 최대한 간결하고 짧게 정리하여 쓸 예정입니다. 다양한 사례를 접하시고, 조금이라도 학습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인다신약의 사주"입니다.  1. 인다신약이란?인다신약(印多身弱)이란? 인성의 세력이 과다한데, 사주의 주인인 일간의 ..

사주 상담과 시 읽기의 공통점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2020년 3월1일부터 사주 상담을 시작하였습니다.   작년 가을부터 꾸준히 개인사주 상담에 대한 문의가 있었지만, 여러가지 사정 때문에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사주 상담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개인 사주 상담을 미뤘던 것은 "이론 작업에 충실하고 싶다"는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표면적인 이유고, 솔직히 말씀드리면 상담에 따른 정신적 에너지 소모를 감당하기 버거워서 개인 사주 상담을 계속 미뤄왔습니다. 상담을 해보지 않으신 분들은 무슨 에너지 소모냐? 라고 반문하실 수 있겠지만, 제대로 된 상담을 하기위해서는 내담자의 감정에 혼연일체되어 함께 느끼고 공유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사주 8글자만 가지고 하는 상담이 무슨 의미..

삼합이란?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천간 합에 이어 지지 합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지 합 세 번째 시간으로 "삼합(三合)"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오신 분들은 지지 합에 관한 일반론을 다룬 아래의 글을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0/02/25 - [사주명리학/십신(十神)과 합충(合沖)] - 지지 합(合) 기초 이론 지지 합(合) 기초(1)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천간 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총 4시간에 걸쳐 알아보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합충 정리작업이 마무리 된 이후에 추가 보충 할 수 있도록 하..yavares.tistory.com 또한 방합에 관한 글을 읽고 오시면, 훨씬 삼합에 대한 이해가 빨라지실 겁..

방합이란?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지지 합(合) 기초 두 번째 시간으로 "방합"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지지 합(合)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검색을 통해 바로 여기로 오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지난 시간의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0/02/25 - [사주명리학/십신(十神)과 합충(合沖)] - 지지 합(合) 기초 이론 지지 합(合) 기초(1)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천간 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총 4시간에 걸쳐 알아보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합충 정리작업이 마무리 된 이후에 추가 보충 할 수 있도록 하..yavares.tistory.com 글의 차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12..

지지 합(合) 기초 이론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천간 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총 4시간에 걸쳐 알아보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합충 정리작업이 마무리 된 이후에 추가 보충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부터는 지지 합의 기초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념 정리지지 합(合)을 이해하기에 앞서,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가겠습니다. 천간합에서도 다루었던 '합(合)'과 '합화(合化)'에 대한 개념을 다시 되새겨보고, '국(局)'이라는 개념에 대해서도 소개하겠습니다.  가. 합(合) 두 개 이상의 간지가 모여서 묶이는 현상. 두 개 이상의 간지가 묶여서 하나처럼 움직이기 때문에, 효과1 - 본인의 힘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움.효과2 - 충이나 형과 같은 부정적인 요인이 있을 때 방어할..

천간 합(合) 기초(4)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천간 합 기초 네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 다루어 볼 개념은 쟁합과 대운에서의 합에 관한 개념입니다. 1. 쟁합爭合먼저 단어의 의미부터 보겠습니다.  쟁합爭合 - 다툴 쟁, 합할 합 풀이하자면, 합을 하는 데 서로 합을 하기 위해 다툰다는 이야기입니다. 여자는 하나인데, 남자 둘이서 달라들어 서로 팔짱을 끼려고 하는 형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쟁합의 상황이 연출되면 합의 영향력이 약해진다고 봅니다. 아무래도 1:1의 깔끔한 관계보다는 1:2, 1:3의 연합 관계가 그 결속력이 느슨할 수 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쟁합의 예시를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쟁합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개념이 아니기에 몇개의 예시만 보면 쉽게 숙지하시고 활용하실 ..

<24절기> 우수(雨水)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24절기, 우수(雨水)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안녕, 사주명리" 블로그는 사주명리에 대해 쉽고 재밌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우수(雨水) 개요입춘과 경칩 사이의 절기 양력으로 2월 19~20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330도에 머물렀을 때    2. 우수(雨水) 봄의 시작입춘, 즉 봄이 시작되었지만 대지에는 아직도 겨울의 기세가 막강합니다. 절기상으로는 봄에 해당하지만, 지상에 뿌리내린 겨울 기운은 아직 물러갈 마음이 없습니다. 그때, 하늘에서 봄비가 내립니다.  온 대지에 내리는 봄비는 이제 겨울이 물러갈 때가 되었다고 외치는 신호탄이 됩니다. 봄의 신호탄이 되는 절기가 바로 "우수"입니다...

천간 합(合) 기초(3)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천간 합(合) 기초 세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천간합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고, 합과 합화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몇 개의 사주 명식을 예로 들어, 1. 약한 합과 강한 합2. 일간 합3. 합화가 이루어지는 구체적 상황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약한 합과 강한 합합은 약한 함과 강한 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위치가 가까우면 강한 합이 될 것이고, 위치가 멀면 약한 합이 됩니다. 구체적인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연주와 시주는 왼쪽 끝과 오른쪽 끝으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나중에 근묘화실론에 대해 다룰 때 자세히 언급하겠집만 사주 원국을 해석할 때 거리 관계는 ..

천간 합(合) 기초 (2)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천간 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들어가며지난 시간에 못한 이야기를 좀 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사주명리의 이론 중 갑자기 난이도가 높아지는 부분이 바로 합과 충에 관한 부분입니다. 사주 이론을 설명하는 책들을 보면, 음양오행, 천간과 지지, 사주명식 뽑는 법 등에 대해 설명을 하고 바로 합충에 대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만세력으로 자신의 사주명식에서 나무가 몇개인지 쇠가 몇개인지 신살이 뭐가 있는지 보고, 즐거움을 느끼던 많은 분들이 이 합충 부분에 오면 머리가 어지러워지고 개념 이해가 잘 안되어 중도에 포기하고 맙니다.  나무가 갑자기 흙으로 변한다는데, 그 이론적 근거도 없을 뿐더러 출판매체의 특성상 충분한 예시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