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고전읽기 59

연해자평 1. 論논 十干食祿 십간식록

甲食丙, 갑의 식食은 丙, 乙食丁, 乙의 식食은 丁, 丙食戊, 丙의 식食은 戊, 丁食己, 丁의 식食은 己, 戊食庚, 戊의 식食은 庚, 己食辛, 己의 식食은 辛, 庚食壬, 庚의 식食은 壬, 辛食癸, 辛의 식食은 癸, 壬食甲, 壬의 식食은 甲, 癸食乙, 癸의 식食은 乙이다. 歌曰, 時人欲食食神名, 고전에 이르기를 사람이 식사를 하고자 할 때의 이름이 식신이다.  甲人食丙乙人丁, 丙食戊兮丁食己, 己食辛兮戊食庚, 庚壬辛癸偏相喜, 壬甲癸乙最光榮, 갑은 병, 을은 정, 병은 무, 정은 기, 기는 신, 무는 경, 경임, 신계는 한쪽만 좋고, 임갑, 계을은 모두 영광이 된다. 若遇食神騎祿馬, 必居豪富立功名, 만약 식신食神을 만났는데 祿馬가 걸터앉으면 반드시 세력 있는 부자가 되고 공명을 이룬다.  不食空亡羊刃煞, 不食..

연해자평 1. 論논 十干學堂 십간학당

(金)生人見巳, 辛巳爲正. 金이 지지에 巳를 깔았을 때, 辛巳가 정(正)에 속한다. (木)生人見亥, 己亥爲正.木이 지지에 亥를 깔았을 때, 己亥가 정(正)에 속한다.  (水)生人見申, 甲申爲正. 水이 지지에 申을 깔았을 때, 甲申이 정(正)에 속한다. (土)生人見申, 戊申爲正. 土가 지지에 申를 깔았을 때, 戊申이 정(正)에 속한다. (火)生人見寅, 丙寅爲正.火가 지지에 寅를 깔았을 때, 丙寅이 정(正)에 속한다. 『 註釋 : 有此者主人聰明、通達、登科及第。犯空亡,教授之職.』『 주석 : 십간학당은 총명하고, 통달하고, 과거에 급제하고, 공망이 이루어지면 교수를 할 수 있는 기운이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십간학당"입니다. 십간학당의 글자 뜻은 십간(十干)..

연해자평 1. 論논 華蓋화개

寅午戌見戌 寅午戌은 戌 巳酉丑見丑巳酉丑은 丑 申子辰見辰 申子辰은 辰 亥卯未見未亥卯未는 未가 있을 때 화개가 성립한다. (華蓋本爲吉(화개는 본래 길하다. 凡人命中得之, 多主孤寡, 하지만 명식 안에 화개가 있으면 고독하다. 縱貴亦不免爲孤獨也,설령 귀하다고 하더라도 고독을 면하기가 어렵다.  遇之多爲僧道術論, 화개는 승도(속세를 벗어난 공부)와 관련이 있으며, 壼中子曰, 華蓋爲藝術之星, 主孤)고전에 이르기를 화개는 예술과 관련이 있으며, 화개가 있으면 고독하다고 하였다.) 『 註釋 : 此星如蓋立乎大帝之旁.』『 주석 : 화개는 덮어서 가리는 것으로 왕을 보좌하는 것과 같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화개"입니다. 화개에 대해서는 "신살" 카테고리에서 워낙 자세히 ..

연해자평 1. 論논 天赦천사

春戊寅봄은 무인戊寅  夏甲午여름은 갑오甲午 秋戊申가을은 무신戊申 冬甲子겨울은 갑자甲子 (凡人生日干, 遇之方得用)(무릇 일간에 만나면 아주 좋다.) 『 註釋 : 此星解人災禍.』『 주석 : 이 귀인은 사람의 나쁜 액을 쫓아준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요즘에는 사주이론에 대한 포스팅은 하지 않고, "생활 속 사주명리" 카테고리와 "고전읽기" 카테고리에만 글을 쓰고 있습니다. 내일 절기에 대한 포스팅이 있을 예정인데, 모레부터는 다시 사주 이론인 십신(육친)에 대해 정리하는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머릿속으로 구상 작업을 마쳤고, 도표나 도안에 대한 준비가 진행중입니다. 그림이나 도표는 한땀한땀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주 블로그의 특성 상 별로 예쁘지 않아도 되는데, ..

연해자평 1. 論논 驛馬 역마

申子辰馬在寅申子辰은 寅이 역마다.  寅午戌馬在申寅午戌은 申이 역마다. 巳酉丑馬在亥巳酉丑은 亥가 역마다. 亥卯未馬在巳.亥卯未는 巳가 역마다. (其法以水生申病寅, 寅木水生木, 木爲水子, 此乃病處, 見子來相接, 如人病不能進, 待子來接之, 如驛馬來接, 如倣此推) (역마는 십이운성 "병"에 해당하는 자리에 해당한다. 역마는 신자진 수국의 경우, 인목을 보면, 수가 목을 생하니 목은 수의 자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이곳은 곧 병의 자리에 자식이 접근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가령 사람이 병이 들면 힘쓰지 못하여 자식이 오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이 역마가 오기를 기다린다.) 『 註釋 : 有馬必要鞍,必要欄方好. 無鞍不能乘, 無欄不能止, 皆無用也. 馬前爲欄,馬後爲鞍』『 주석 : 역마가 있으며 반드시 안장이 있어야 하고,..

연해자평 1. 論논 十干祿십간록

甲祿在寅,甲의 록은 寅, 乙祿在卯, 乙의 록은 卯, 丙戊祿在巳, 丙,戊의 록은 巳, 丁己祿在午, 丁,己의 록은 午, 庚祿居申, 庚의 록은 申, 辛祿居酉, 辛의 록은 酉, 壬祿在亥, 壬의 록은 亥, 癸祿在子.癸의 록은 子, (夫祿者, 以天干地支所旺之鄕, (무릇 록祿은 천간이 지지를 만나 왕성한 기운을 펼치는 것이다. 如甲祿在寅, 乃東方甲乙之地支, 辰寅卯配之, 餘皆同此. 가령 甲의 록은 寅인데, 동방을 의미하는 甲과 乙의 록에 해당하는 지지는 寅, 卯, 辰이다. 남은 것은 이에 준한다.  辰戌丑未乃魁罡惡殺, 祿神不臨也, 하지만 辰戌丑未는 괴강에 해당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악살 때문에 록신이 임하지 않는다. 凡人命帶祿, 或吉或凶, 或貴或賤, 何以論之, 무릇 사람의 운명을 논할때, 록이라 하더라도 흉하거나 천한데..

연해자평 1. 論논 三元 삼원

假令甲子以甲木爲天元, 가령 갑자에서 갑목은 천원(天元)이 되고, 子爲地元,자수는 지원(地元)이 되고, 子中所藏癸水爲人元.자수 속에 숨어있는 계수는 인원(人元)이 된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삼원(三元)"입니다. 먼저 원문의 내용을 보면, 하나의 柱를 기준으로 하여 천간에 해당하는 것을 천원, 지지에 해당하는 것을 지원, 지장간에 해당하는 것을 인원이라고 정리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주해석에서 삼원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과거의 사주명리에서는 천지인을 의미하는 삼재(三才)와 더불어 삼원(三元)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첫째, 삼원은 사주명리, 음양오행의 철학적 근본으로서의 기능을 했습니다. 우주는 음양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

연해자평 1. 論논 福星貴人복성귀인

甲丙相邀入虎鄕, 更逢鼠穴最高强甲丙이 寅이나 子를 만나면 가장 높고 고귀하다. 戊猴己未乙丁亥 丙人惟喜戌中藏戊은 申, 己는 未, 丁은 亥, 戌중에 감추어지는 것이 좋다. 庚趁馬頭辛到巳庚은 午, 辛은 巳가 좋고,  壬騎龍背喜非常壬이 辰을 만나는 것은 예사롭지 않고 특별하여 좋다. 更有丁人愛尋酉다시, 丁은 酉를 만나면 좋고 癸乙宜牛祿自昌癸,乙은 丑, 卯가 좋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복성귀인"입니다. 복성귀인은 인간의 기본적인 복록을 의미하는 신살이기에 현대에 더욱 주목받는 신살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실제로는 많이 채용하지 않는 신살입니다. 그냥 참고사항으로만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연해자평 본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복성귀인의 적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또다른..

연해자평 1. 論논 天廚貴人천주귀인

(此主人食祿之貴, 乃登科進祿, 遇之大利)(천주귀인은 식록이 귀하게 된다. 곧 벼슬에 오르고 녹복이 많아지고, 큰 이익을 만난다.) 甲丙愛行雙女遊甲丙은 巳 乙丁獅子乙丁은 午 己金牛己는 酉 戊坐木陽戊는 申 庚魚腹庚은 亥 二千石祿坐皇州2천석의 복록을 가지고 궁궐에 든다. 癸用天蝎癸는 卯 壬人馬 壬은 寅 辛到寶甁祿自由辛은 子로 복록이 많다. 寅是天廚注天祿寅은 천주, 천록이 된다.  令人福慧兩優游.천주귀인을 가진자는 복과 지혜가 있고 편안한 삶을 산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천주귀인" 입니다. 천주귀인은 많이 채용하는 신살이 아닙니다. 그냥 참고사항으로만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연해자평 원문에 보면 천주귀인에 대해 食祿(식록)이 있다는 표현이 여러번 나옵니다. ..

연해자평 1. 論논 天德貴人천덕귀인

正丁二坤中 1월은 丁, 2월은 申 三人四辛同 3월은 壬, 4월은 辛 五乾六甲上 5월은 亥, 6월은 甲 七癸八寅同 7월은 癸, 8월은 寅 九丙十歸乙 9월은 丙, 10월은 乙 子巽丑庚中 11월은 巳, 12월은 庚 (其法以生月分取之, 正月生人見丁, 二月見申, 卽是也) 천덕귀인은 생월을 기준으로 한다. 1월생 사람이 丁을 만나면 성립하고 2월생 사람이 申을 만나면 성립한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천덕귀인" 입니다. 천덕귀인은 월지를 기준으로 하는 귀인입니다. 즉, 태어난 달을 기준으로 천간이나 지지에 어떤 글자가 있는가를 따집니다. 만약 寅월에 태어난 사람이 있다면, 천간에 丁(정화)가 있을 때 천덕귀인이 성립합니다. 만약 卯월에 태어난 사람이 있다면 지지에 申(신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