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자평 1. 論논 五行오행 相生상생 相剋상극

 

生我者爲父母,

나를 생하는 자리는 나의 부모가 되고

 

我生者爲子孫,

내가 생한 자리는 나의 자손이 된다.

 

剋我者爲官鬼,

나를 극하는 자리는 관귀官鬼가 되고

 

我剋者爲妻財,

내가 극하는 자리는 처재妻財가 된다.

 

比和者爲兄弟

비슷하게 화합하는 자리는 형제가 된다.

 

(詳五陽五陰通變圖)

오양, 오음의 변통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면 된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오행 상생 상극"입니다.

 

제목은 오행의 상생 상극이라고 간단하게 나와 있지만, 오늘의 내용은 오행의 상생상극의 관계를 인간의 친족 관계에 적용시킨 "육친" 을 다루고 있는 부분입니다.

 

육친에 대해서는 "안녕, 사주명리"에서 자세히 다루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19/08/31 - [사주명리학/십신(十神)] - 육친(六親)이란?

 

육친(六親)이란?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십신(十神) 카테고리 그 네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육친(六親)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들어가며 지난 시간 오행 포스팅에서 오행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

yavares.tistory.com

연해자평 원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내용은 오늘날의 널리 사용되는 육친의 개념과 일치하기에 따로 덧붙일 말은 없습니다.

 

단지, 나를 극하는 오행을 관귀官鬼라고 불렀다는 점은 재밌습니다.

 

위의 원문을 보면 다른 오행의 관계는 전부 친족 관계에 대해 서술했습니다. "부모, 자손, 처, 형제" 처럼 친족 관계를 대입했는데, 나를 극하는 오행에 대해서는 친족 관계 대입하지 않고 관귀라고 불렀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나를 극하는 오행도 "자식, 남편"의 친족 관계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연해자평 원문에서는 자식이나 남편이라고 하지 않고, 관귀라고 하여 나를 극하는 오행만 특별히 다루고 있습니다.

 

고전에서 나를 극하는 오행 즉, 관성(官星)에 대해 얼마나 경계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나를 극하는 오행은 음양의 차이에 따라 정관과 편관으로 나뉘는데, 고전에서는 정관은 길하게 보지만 편관은 최악으로 보았습니다.

 

일간(나)을 강하게 짓누르는 특성 때문에 편관을 흉하고 못된 기운으로 해석한 것입니다. 그래서 편관에는 "칠살(七殺)", "살(殺)"이라는 무시무시한 별명이 붙어 있습니다. 

 

때문에 연해자평에서는 육친관계에 논하면서도 굳이 관귀鬼 라는 단어를 사용해 편관을 경계한 것입니다. "귀신 귀 " 를 사용해 편관에 대해 콕 짚고 싶었던 것이죠.

 

편관에 대한 극도의 히스테리적인 반응은 앞으로도 계속 등장합니다. 거의 악마에 가까운 기운으로 다뤄집니다. 하지만 편관은 현대에 와서 그 긍정성이 많이 부각되고, 재평가가 이뤄졌습니다. 

 

물론 편관을 "좋은 기운이다"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고전을 맹신하는 것은 피해야 하겠습니다. 어느 정도는 걸러 듣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