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자평 1. 論논 拱祿공록
- 사주명리학/고전읽기
- 2019. 9. 1.
假如戊辰生人見丙午,
가령 戊辰년 생이 丙午를 만나고
丙午生人見戊辰.
丙午년 생이 戊辰을 만나고
丁巳生人見己未,
丁巳생이 己未를 만나고
己未生人見丁巳.
己未생이 丁巳를 만나면
前後相拱, 只此四位. 其餘不是.
전과 후과 서로 공共된다. 오직 이 4개의 경우만 좋게 보고 나머지는 옳지 않다.
『 註釋 : 戊丙祿在巳,辰午虛拱巳祿,忌見填實,只要虛爲貴.』
『 주석 : 戊丙의 건록은祿 巳다. 辰午에 巳祿이 허공虛拱한다. 전실填實은 꺼리고, 비어있으며 귀하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의 연해자평은 "공록(供祿)"이라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십이운성에 대해 이해가 필요합니다. 십이운성에 대해 깊이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십이운성 카테고리에는 더욱 다양한 자료가 있습니다.
2019/03/19 - [사주명리학/십이운성(十二運星)] - <십이운성 개념 정리> 십이운성이란?
"공록"이라는 개념이 왜 등장했냐 하면 바로 십이운성 "건록(建祿)" 때문입니다. 건록은 십이운성의 여러 단계 중 하나인데 예로부터 귀한 취급을 받아 왔습니다.
그 이유는 건록이 30~40대 중장년의 왕성한 기운을 상징하기 때문이며, 건록이 힘(power)과 관록, 경험을 두루 갖춘 견실한 힘이라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단어 자체의 의미도 "강건한 녹봉을 받는다."일 정도로 건록은 예로부터 숭상받아 온 십이운성의 기운입니다.
그럼 공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록은 건록의 개념을 재미있게 활용한 신살입니다. 공록을 이해하기 위해 십이운성 표를 잠깐 보시겠습니다.
십이운성 표를 천천히 살펴보면, 마치 하나의 천간처럼 움직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바로 丙과 戊, 丁과 己입니다. 丙(병화)와 戊(무토)가 짝, 丁(정화)와 己(기토)가 짝을 지어 같은 십이운성의 기운을 가지게 됩니다.
십이운성의 12개의 기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건록이라고 했으니 건록을 보겠습니다.
丙(병화) + 巳(사화)의 조합이 "건록" 입니다. 丙(병화)와 戊(무토)는 십이운성이 같으니,
戊(무토) + 巳(사화)의 조합 역시 "건록"이 됩니다.
丁(정화) + 午(오화)의 조합이 "건록" 입니다. 丁(정화)와 己(기토)는 십이운성이 같으니,
己(기토) + 午(오화)의 조합 역시 "건록"이 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60간지의 조합 패턴 상, 한 주(柱)에 병사, 무사, 정오, 기오의 조합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선인들은 여기에서 센스를 발휘합니다. 巳(사화)와 午(오화)의 앞 글자 뒷 글자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자축인묘의 순서로 보았을 때 巳(사화)의 앞 글자는 辰(진토), 뒷 글자는 午(오화)입니다.
巳(사화)와 십이운성 조합은 丙(병화)와 戊(무토)이니 만약, 병진(사화의 앞 글자)+무오(사화의 뒷 글자)가 성립하면, 자연스럽게 두 글자 사이의 빈 공간으로 사화를 끌어들인다고 보았습니다. 이때 형성되는 건록의 기운을 공록(供祿)이라고 본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한주에 성립하는 건록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지만 앞 글자와 뒷 글자가 그 글자의 기운을 끌어와 건록이 성립되도록 이바지한다(供)는 것 입니다.
기준은 일간(日干)이 아닌 연간(年干)이 되며, 공록이 성립되는 것은 총 4가지 경우입니다.
연해자평 원문에서는 공록이 매우 길하다고 보고 칭송하고 있지만, 공록은 유효한 신살로 보지 않습니다. 연주와 월주를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과거의 형식이며, 십이운성의 12가지 기운 중 건록만을 좋게 보았다는 점에서 편향된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록을 통해 과거 선인들이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신살을 창조해내고 적용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공록을 통해 어떻게 해서든 좋은 기운을 끌어쓰고 싶은 인간의 욕망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