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의 탐구 - 인신사해
- 사주명리학/지지(地支)
- 2020. 11. 20.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지장간의 탐구 - 인신사해" 라는 주제로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지장간의 탐구 시리즈는 인신사해, 자오묘유, 진술축미의 순서로 이어지며, 지장간을 통해 지지의 특성과 공통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기획입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생지(生地), 역마(驛馬)를 의미하는 글자인 "인신사해"의 공통점을 지장간으로 이해해 보는 시간입니다.
생지(生地)인 인신사해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수 있고,
지장간(地藏干)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입니다.
1. 인신사해의 지장간
지장간은 말 그대로, 지지에 숨어들어 있는 천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지장간이라는 개념 자체가 천간과 지지의 무한한 상호 연관성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지장간은 초기(여기)와 중기, 정기(본기)로 나눠지며,
정기(본기)에 해당하는 지장간이 지지를 대표하며, 정기의 음양오행이 곧 해당 지지의 음양오행이 됩니다.
寅(인목)의 경우,
정기가 甲(갑목)이기 때문에 寅(인목)의 오행을 목木이라고 하고, 음양을 양陽이라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甲(갑목)의 음양오행이 양목(陽木)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인신사해의 지장간이기 때문에,
인신사해의 지장간을 그림으로 나타내 보았습니다.
초기와 중기, 정기로 가로 정렬해 보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서대로 세로 정렬하였습니다.
그러면 인신사해의 지장간이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인신사해에 대한 이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인신사해의 공통점1. "++++++++++++++++"
지장간으로 살펴본 인신사해의 첫 번째 공통점은,
인신사해의 지장간은 모두 양간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모두 균일하게 3개씩의 지장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도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이 세 개가 전부 양간이라는 점입니다.
저는 음양오행 중 양을 생각할 때, 양간을 생각할 때,
항상 아지랑이를 떠올립니다.
공중으로 한없이 날아오르려는 기세,
밝고 가벼워서 잡히지 않는 존재
가 바로 음양 중 양(陽)을 의미합니다.
힘은 있지만 실체는 없고,
기운은 넘치지만 허당이라 실속은 없는 것이 양(陽)입니다.
발산하기에 속이 텅 비어버린 것,
앞으로 나아가기에 뒤가 비어있는 것,
공격에 치중하기에 수비가 허술한 것
이 바로 양(陽)의 특징입니다.
인신사해는
신살로 보면, 역마에 해당하는 글자이고,
삼합의 관점에서 보면, 생지에 해당하는 글자입니다.
역마와 생지의 공통점은 기운을 불러일으키고, 앞으로 나아가고, 강하게 추동하여 일으켜 세운다는 점입니다. 선발대, 전위부대, 예술의 아방가르드, 불쏘시개, 새벽의 여명, 시작, 새로움의 이미지가 역마, 생지와 통합니다.
이를 지장간의 방식으로 이해하면,
인신사해는 구성 성분이 모두 양간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청난 발산의 에너지가 나옵니다. 이 양간들의 모임에서 나온 엄청난 발산의 힘이 인신사해의 "이동성, 활동성, 전진성, 출발, 새로움"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신사해의 지장간을 보면서,
좁은 울타리에 갇힌 양간들이 좀 쑤셔하는 모습이 느껴지십니까?
서로 싸우고 티격태격 하는 모습이 보이십니까?
그것이 바로 인신사해가 가진 아주 강한 추동의 에너지입니다.
이 추동의 에너지가 우주의 회전을 만들어 내고,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양상을 만들어 냅니다.
아니 반대입니다.
행성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추동의 에너지를(회전 자체의 힘을 의미하는 에너지) 양간의 강한 활동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강한 양간들이 촘촘하게 포진되어 있기 때문에
사주에 인신사해가 다 있으면 천하를 뒤흔들 수 있는 인물로 보았고,
인사신 삼형의 에너지를 두려워 했던 것입니다.
천방지축으로 날뛰는 형제들을 잔뜩 풀어놓은 마당이니, 그 집이 조용할 날이 있겠습니까?
3. 인신사해의 공통점 2. "다음 계절을 준비하다."
분홍색 대각선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인신사해의 중기는 다음 계절의 정기(본기)가 됩니다.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위에서 말씀드린 인신사해의 강한 추동력은 다음 계절을 불러오기 위해 작동한다는 점입니다.
寅(인목) 안에 들어있는 중기 丙(병화)는 다음 계절인 여름의 정기가 됩니다.
다음 계절의 대장이 될 녀석들이 이전 계절에는 가운데에 숨어서 때를 기다리다가 때가 되면 앞으로 나서는 형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장간 안의 중기는 항상 그냥 넘겨서는 안됩니다. 다음 계절에는 완장을 차고 대장이 될, 2인자이기 때문에 중기는 그 비중이 작더라도 영향력이 적지 않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오히려 중기가 정기를 극하는 상황이라면, 정기는 중기에 의해 꼼짝못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未(미토)의 경우가 그러합니다.
또하나 생각할 점은,
중기가 정기로 바뀌는 그 힘이 바로 자연현상 자체, 사계절의 순환을 가능케 하는 에너지가 된다는 것입니다.
역시 반대로 말해야 하겠습니다.
사계절의 순환을 가능케 하는 어떤 "역동적인 에너지, 회전의 힘"이 저는 인신사해의 중기와 정기 사이로 이어지는 관계로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팽이에 비유해 보겠습니다.
팽이를 계속 돌리기 위해서는 줄로 팽이를 계속 쳐줘야 합니다. 줄이 팽이에 닿으면서 생기는 힘이 회전력을 계속 이어가게 만드는 것입니다.
팽이를 계속 돌리기 위해서는 팽이가 도는 방향으로 타격을 해줘야 합니다. 살짝 비슷하게, 도는 방향에서 나가는 방향으로 말이죠.
회전의 방향을 거스르지 않고, 회전력을 계속 더해주는 힘을 저는 인신사해 지장간의 중기와 정기의 관계가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기에서 정기가 되는 그 발전의 방향이 자연 순환의 에너지인 것입니다.
4. 인신사해의 공통점 3. "戊(무토)의 엄청난 에너지"
인신사해의 초기는 모두 戊(무토)입니다.
초기가 모두 戊(무토)라는 것은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戊(무토)의 중재성입니다.
이는 오행 土가 가진 고유의 성질이기도 합니다. 나머지 오행들은 다 자기 고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오행 土는 다른 오행들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다른 오행들의 밑바탕이 되고, 아우르는 역할을 할 뿐 특별한 성격을 가지지 않는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오행 土의 성향 때문에 오행 土는 중재의 역할을 한다고 보고, 사주 해석을 할 때도 중재의 의미, 휴식의 의미, 휴게소, 인터체인지, 방향의 전환의 의미를 가진다고 봅니다.
인신사해는 모두 계절의 시작을 의미하는 지지입니다. 寅(인목)은 봄의 시작을 의미하고, 申(신금)은 가을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계절이 시작된다는 이야기는 이전 계절의 끝과 만난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寅(인목)의 경우, 겨울을 의미하는 丑(축토)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겨울과 봄의 경계가 됩니다.
인신사해는 모두 이질적인 두 계절의 경계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얼마나 큰 충돌과 변화가 존재하겠습니까? 그 이질성을 보완하고, 충돌을 완화하기 위해서 바로 戊(무토)가 있습니다.
중재의 왕인 戊(무토)가 인신사해의 초기에 자리잡고, 이전 계절의 기운과 인신사해의 기운의 충돌을 잘 막아내고 융화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뼈와 뼈 사이의 연골, 완충제, 차의 범퍼와 같은 역할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둘째, 戊(무토)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입니다.
戊(무토)는 물상적으로 큰 산, 큰 땅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무한한 우주의 정기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는 어떤 에너지, 우리를 감싸고 있는 무한한 공기 자체가 무토가 되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동양화의 흰 여백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화선지에 난을 친다고 했을 때, 난을 치고 남은 흰 여백이 戊(무토)가 되는 것입니다.
戊(무토)자체는 아무런 역할을 하고 있지 않지만,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이 큰 역할이 됩니다. 그것이 바로 채우고 있는 것의 가치, 여백의 가치입니다.
戊(무토)는 무한한 우주의 정기이자 에너지이기 때문에, 인신사해에 강한 에너지를 공급해줍니다. 초기에 戊(무토)가 자리잡고 있는 것은 그것이 완충 작용을 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인신사해에 강하고도 무한한 활동력을 공급해 주기 위합입니다.
무한한 태양에너지와 같은 느낌으로,
"마음껏 날뛰어 보렴."
하고 뒤에서 힘껏 중기를 밀어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 중기의 에너지는 다음 계절의 정기로 넘어가고, 그것이 무한하게 반복되면 바로 회전력이 생기고, 그 질서가 바로 자연현상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인신사해와 지장간에 대해 나름 탐구한 것을 말씀드려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자오묘유와 그 지장간에 대해서 말씀을 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