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견(比肩)이란?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사주명리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육친(六親) 십신(十神)"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십신(十神) 중 비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요

단어의 뜻 : 견줄 (比), 어깨 (肩),  "어깨를 견주다."

 

오행의 관계 : 일간을 기준으로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천간이나 지지가 있을 때 비견이라 함.

 

파생된 의미 : 방향성이나 운동성을 같이 하는 것, 똑같은 색깔, 나의 분신

 

 

2. 비견의 의미에 앞서

비견은 그 기준이 되는 일간과 오행 상으로 같고 음양도 일치하는 간지를 일컬습니다.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르면 겁재(劫財)가 되는 것인데,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를 함께 통틀어 비겁(比劫)이라고 합니다.

 

다른 십신들은 예를 들면, 정재와 편재, 정관과 편관은 그 구분이 명확한 편입니다. 때문에 여러 명리학 관련 강의나 서적에서 뚜렷하게 구분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비견과 겁재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특성을 정리한 것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는 비견과 겁재가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십신이기 때문입니다. 비견과 겁재는 일간과 같은 오행이기 때문에 그 특징이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공통점이 워낙 많기 때문에 사과 자르듯이 둘로 정확하게 떼어내기가 어렵습니다.

 

"안녕, 사주명리"에서는 비견과 겁재의 특징을 구분지어 정리하겠지만, 

 

1. 비견과 겁재는 유사한 특징을 많이 공유하고 있다는 점,

2. 비견의 성격에 + "폭력성, 전복성, 의외성, 극단성"을 추가하면 겁재의 성격이 된다는 점,

 

에 유념하시면 비견, 겁재, 비겁의 의미가 잘 이해되실 겁니다.

 

 

3. 비견의 의미 (1) 인간관계

비견은 인간관계에서 나와 어깨를 견주는 사이를 의미합니다. 나와 항렬이 같은 형제(특히 동성), 자매(특히 동성), 시아버지(여자의 경우), 친구, 쌍둥이, 동료, 선후배가 비견이 의미하는 인간관계 입니다.

 

 

4. 비견의 의미 (2) 자존심

나와 똑같은 오행이 하나 더 있다는 것은 "자기 자신"이 탄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존심과 고집이 굉장히 강하고, 독립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향은 일간에 따라 강하게 겉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내면에서 잠재되어 사생활의 영역에서 강하게 발현되기도 합니다.  

 

사주에서 비견이 강하다는 이야기는 비견을 공격하는 관성(官星)의 공격을 잘 버틸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때문에 비견이 강한 사람들은 윗사람, 집안어른, 상사의 권위에 쉽게 따르지 않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의 가치관을 중시하기에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성향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직장생활이나 전통적인 의미의 결혼 생활에 어울리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5. 비견의 의미 (3) 내 옆에 누군가가 있다.

나와 똑같은 오행이 하나 더 있다는 것은 나와 동급의 동료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 말고도 한 사람이 더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비견이 강한 사람들은 동료, 선후배와 협력하고 친목하는 데 뛰어난 재능을 발휘합니다. 동창회와 친목회 조직과, 각종 모임이나 사회단체 활동과도 어울리는 것이 비견의 힘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동료는 곧 내 경쟁자가 되기도 합니다. 동료들과 강하게 친목을 도모함과 동시에 경쟁의식 또한 강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 비견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비견은 경쟁의 논리, 다툼을 좋아하는 성향을 강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6. 비견의 의미 (4) 돈이 보이면 바로 쓴다.

비견은 재성(정재,편재)을 극합니다. 극 한다는 것은 파헤쳐서 소모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결국 비견이 강하다는 것은 재물 활동, 재물의 창고를 약화시키는 힘이 강하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때문에 비견이 강한 사람들은 강한 소비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물이 없을 때는 없는 재물에 맞게 아껴쓰지만, 재물이 많아지면 재물을 모으기보다는 과도하게 지출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동료들에게 잘 베풀기도 하고, 낭비의 성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물의 관리에 유념해야 하겠습니다.

 

 

7. 비견과 다른 십신의 관계

(1) 재성을 극함

비견은 재성을 극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재성과 비견은 항상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성은 재물활동, 사회적 대인관계를 의미합니다. 일간(나)의 세력이 강할 때와 약할 때를 모두 고려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가. 일간의 세력이 약하고 재성이 강할 때 비견운이 오면?

일간의 세력이 약한데 재성이 강하다는 이야기는 다뤄야 할 재물은 많은데, 힘이 부족해 취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명리학에서는 이를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는 용어로 부릅니다. 이런 상황은 밭은 많지만 밭을 일굴 사람은 적은 경우로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비견에 해당하는 운세가 온다는 것은 밭을 일굴 동료가 더 투입된다는 말입니다. 당연히 비견은 일간이 감당해야 하는 재성의 무게를 분담하게 되고, 재성이라는 드넓은 터전을 일구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놀고 있는 땅을 일구는 것이기 때문에 물질적인 면에서는 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밭은 같이 일구었기 때문에 얻은 재물을 나누는 과정에서 말썽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나. 일간의 세력이 강하고 재성이 약할 때 비견운이 오면?

일간의 세력이 강하고 재성이 약하다는 이야기는 다뤄야 할 재물은 적은데, 동료가 많은 것을 뜻합니다. 명리학에서는 이를 군비쟁재(群比爭財), 혹은 군겁쟁재(群劫爭財)라는 용어로 표현합니다. 이런 상황은 밭은 적은데 자신의 몫을 형제와 동료에게 나누어 줘야 하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비견에 해당하는 운세가 온다는 것은 나눠 먹을 동료가 추가된다는 말입니다. 더욱 상황이 악화될 것이고, 이 운세에 해당하는 사람은 더욱 경쟁적인 자세를 보입니다. 어떻게 해서든 재물을 차지해야 하기 때문에 매사에 악착같은 조급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인성을 설기함

설기(洩氣)한다는 것은 힘을 뺀다는 이야기입니다. 한 오행이 자신이 生하는 오행을 만나면, 生을 받은 입장에서는 기운이 살아납니다. 하지만 반대로 生을 한 입장에서는 기운이 빠지게 됩니다. 다른 오행을 살리기 위해 힘을 썼기 때문입니다. 이를 명리학에서는 설기(洩氣)라고 합니다. 

 

힘이 강한 오행이 있을 때, 그 오행의 힘을 견제하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극(剋)을 통해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金이 강하다면, 火를 이용해 金의 기운을 누르는 방식입니다. 둘째는 설기(洩氣)를 통해 힘을 빼는 방식입니다. 金이 강하다면, 水를 이용해 金의 기운을 빼내는 방식입니다. 

 

비견은 식상을 생하는 역할을 하지만 인성을 설기하는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합니다. 즉 인성이 강할 때, 비견운이 오면 강한 인성의 기운이 비견 쪽으로 흘러 인성의 기운이 설기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의미를 부여해 보겠습니다.

인성이 과다하다는 것은 생각이나 계획, 지식을 다루는 부분에 대해서, 일간이 굉장히 소극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한 것은 부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인성이 강하고 일간이 약하다면, 지나친 인성의 간섭으로 인해 주체성, 자립성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한 마마보이가 되게 됩니다. 당연히 결혼 생활도 파국으로 치달을 확률이 높습니다. 어머니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비견운이 오면, 인성의 과다한 기운을 추가된 비견의 힘이 감당해 내게 됩니다. 비견이 인성을 설기하는 것입니다. 그동안의 우유부단함과 의존성에서 벗어나 좀더 주체적이고 과감한 삶을 살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8. 천간과 지지의 비견

천간에서의 비견-甲일주에 甲이 있는 경우-은 도움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그 이유는 지휘하고 지시하는 사령부가 2개 이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천간은 이상향, 정신적 지향점을 의미하는데, 정신점 지향점이 분리되어 있으니 정신적인 번거로움을 가중한다고 봅니다. 한가지 일에 집중하기가 어려운 성향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반면 지지에 있는 비견은 자신의 정신적 역량이 땅에 내려온 것을 의미하니다. 때문에 지지에 있는 비견은 건강이나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합니다.

 

천간의 비견의 경우 세부적으로 나누어 그 길흉을 나누기도 합니다. 그냥 참고사항으로만 보시면 되겠습니다.

 

갑 + 갑 = 활동력이 왕성하여, 경쟁에 유리한 입장을 차지한다.

을 + 을 = 고독이 따르고 주변의 조력을 입지 못한다.

병 + 병 = 너무 밝아 오히려 보이지 않는다.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정 + 정 = 은은한 불이 더해지니 밝아져 매사에 원만하다.

무 + 무 = 배포가 크고 꿈이 방대하지만, 실속이 없고 고집이 세다.

기 + 기 = 너무 작은 것에 집착하여 일의 진척에 장애가 많다.

경 + 경 = 강한 힘이 겹쳐 있으니 크게 다치는 일이 발생한다.

신 + 신 = 가슴속에 복수심을 안고 살아가니 인생이 고독하다

임 + 임 = 상대방에게 너무 큰 배려를 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계 + 계 = 일의 진행에 장애가 많이 발생하고 성과를 내기가 힘들다.

 

 

9. 비견에 해당하는 일주

비견에 해당하는 일주는 다음과 같습니다.

 

갑인일주, 을묘일주, 무진일주, 무술일주, 기축일주, 기미일주, 경신일주, 신유일주

 

일주에 따라 혹은 개별 사주에 따라 큰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위의 일주에서 비견의 특징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