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24절기 23

추분(秋分) - 1분 깔끔 정리-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안녕, 사주명리"라는 블로그에서 사주 이론과 실제에 대해 쉽게 풀어가고 있습니다. 다른 카테고리의 글들도 관심을 가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추분(秋分)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추분(秋分)의 개요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의 절기 양력 9월 22일~23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80도에 머물렀을 때 2. 추분, 기(基)절기태양고도의 기점이 되는 절기를 기(基)절기라고 합니다. 기절기에는 동지, 춘분, 하지, 추분이 있습니다. 동지는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때이고, 하지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때입니다. 춘분은 동지에서부터 길어지기 시작한 낮의 길이가 드디어 밤을 이기는 절기 입니다. 반대로 추분은 하지에서부터 길어지기 시작..

백로(白露) -1분 깔끔 정리-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백로(白露)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백로(白露)는 2019년 9월 8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9월 8일은 백로(白露)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백로(白露)는 백로일(9월 8일)부터 추분일(9월 23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백로(白露)라고 합니다. 백로(白露) 개요24절기 중 열다섯 번 째에 해당하는 절기.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 양력으로는 9월 8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65도에 이르렀을 때 백로(白露) 단어의 의미백로(白露)는 흰 이슬 즉, 아..

처서(處暑)-1분 깔끔 정리-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처서(處暑)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처서(處暑)는 2019년 8월 23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8월 23일은 처서(處暑)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처서(處暑)는 처서일(8월 23일)부터 백로일(9월 8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처서(處暑)라고 합니다. 처서(處暑) 개요24절기 중 열네 번 째에 해당하는 절기.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 양력으로는 8월 22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이르렀을 때 처서(處暑) 단어의 의미처서(處暑)의 '처(處)..

<24절기> 입추(立秋)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입추(立秋)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입추(立秋)는 2019년 8월 8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8월 8일은 입추(立秋)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입추(立秋)는 입추일(8월 8일)부터 처서(8월 23일) 이전 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입추(立秋)라고 합니다. 입추(立秋) 개요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 양력으로는 8월 8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이르렀을 때 입추(立秋) 입(入)절기'입추(立秋)'라는 말은 '가..

<24절기> 대서(大暑)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대서(大暑)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서(大暑)는 2019년 7월 23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7월 23일은 대서(大暑)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대서(小暑)는 대서일(7월 23일) 부터 입추(8월 8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대서(大暑)라고 합니다. 대서(大暑) 개요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 양력으로는 7월 22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20도에 이르렀을 때 대서(大暑) 자연 현상일 년 가운데 가장 더운 때입..

<24절기> 소서(小暑)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소서(小暑)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서(小暑)는 2019년 7월 7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7월 7일은 소서(小暑)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소서(小暑)는 소서일(7월 7일)부터 대서(7월 23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소서(小暑)라고 합니다. 소서(小暑) 개요24절기 중 열한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 양력으로는 7월 6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105도에 이르렀을 때 소서(小暑) 자연현상'소서(小暑)'라는 말은 '작은 더위'..

<24절기> 하지(夏至)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하지(夏至)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하지(夏至)는 2019년 6월 22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6월 22일은 하지(夏至)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하지(夏至)는 하지일(6월 22일)부터 소서(7월 7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하지(夏至)라고 합니다. 하지(夏至) 개요24절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 양력으로는 6월 22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90도에 이르렀을 때 하지(夏至) 자연현상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

<24절기> 망종(芒種)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망종(芒種)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망종(芒種)은 2019년 6월 6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6월 6일은 망종(芒種)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망종(芒種)은 망종일(6월 6일)부터 하지(6월 22일)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망종(芒種)이라고 합니다. 망종(芒種) 개요24절기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 양력으로는 6월 6일 무렵 태양의 황경이 75도에 이르렀을 때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 좋은 때라는 의미를..

<24절기> 소만(小滿)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소만(小滿)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만(小滿)은 2019년 5월 21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5월 21일은 소만(小滿)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소만(小滿)는 소만일(5월 21일)부터 망종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소만(小滿)이라고 합니다. 소만(小滿) 개요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21일 무렵 태양의 황경(黃經)이 60도에 이르렀을 때 소만(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

<24절기> 입하(立夏)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은 24절기, 입하(立夏)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입하는 2019년 5월 6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5월 6일은 입하(立夏)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입하(立夏)는 입하일(5월 6일) 부터 소만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입하(立夏)라고 합니다. 입하 개요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에 이르렀을 때 입하(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