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61

착잡해도 작명은 기쁘게.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얼마전 지인으로부터 작명을 의뢰받았습니다. 신생아 작명이었는데, 몇번 고사를 했지만 결국 수락해 놓고 한동안 잊고 있었습니다. 요즈음 개인적인 일 때문에 마음이 어지러웠는데, 오늘 한건의 상담을 진행하면서 오히려 정신이 맑아지고, 집중력이 높아졌습니다. 어떤 일에 몰두하는 과정을 통해 번뇌가 잊혀지는 것인가? 하고 신기해하고 있던 찰라, 잊고 있었던 작명이 떠올랐습니다. 작명, 특히 신생아 작명은 더욱 맑은 정신으로 해야지 하고, 기회를 놓치면 안된다는 생각에 서둘러 대법원 인명용 한자 수록 책을 꺼내들었습니다. 그리고 만세력으로 사주를 뽑아보았습니다. 5월 중순에 태어난 아이입니다. 일간이 무토이고, 사주원국에 니은자로 빨간색이 그어진 것을 확인할 수 ..

화(火)와 수(水)의 극단적 대립 사주

안녕하세요."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오늘은 실제 상담 사례를 바탕으로 화(火)와 수(水)의 대립, 물과 불이 대립되는 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오행 화(火)의 속성과 수(水)의 속성에 대해 좀더 명확하기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그럼 실제 상담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오행 화(火)와 수(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화(火)와 수(水)의 특성오행 화(火)는 불과 같이 뜨거운 기운을 말합니다. 천간 중에는 丙(병화)와 丁(정화)가 화(火)에 해당하고, 지지에서는 巳(사화)와 午(오화)가 화(火)에 해당합니다. 화(火)는 물상적으로 살펴보면 말 그대로 타오르는 불꽃입니다. 계절로는 한여름으로 볼 수 있고, 시간상으로는 한낮입니다. 양기가 극점으로 치달아 있는 상..

토다금매 사주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실제 사주명식을 예로 들어 "토다금매(土多金埋)"라는 주제로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1. 인성과다일간의 힘과 세력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주명리(자평명리)에서는 일간의 힘이 균형을 갖춘 상태를 최고의 이상적 상태로 간주합니다. 일간의 힘이 너무 강해도, 혹은 너무 약해도 좋지 않은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실제 감명을 해보면, 오행이 부족한 것은 어떻게든 극복이 가능한데, 오행의 기운이 넘치는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라리 비겁(비견과 겁재)가 왕성하여, 일간의 힘이 강해진 경우는자아가 너무 충만하여 주변 사람들을 피곤하게 하는 할지언정, 본인은 주변 사람들의 기분과 상관없이 자기 멋대로 세상을 잘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 그대로 자..

편인의 게으름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편인의 게으름이라는 주제로 편인의 특성에 대해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1. 편인이란?인성(印星)은 일간을 생生하는 기운을 말합니다. 일간이 화 라면, 인성은 목에 해당합니다.만약 일간이 수라면, 인성은 금에 해당하겠죠. 인성은 일간의 소중한 의지처가 되며, 일간을 극하는 관성을 설기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를 도와주는 기운이자, 나를 공격하는 기운을 살살 달래주는 포근한 기운입니다. 나를 생하는 오행이 인성이기 때문에,이것을 인간의 삶에 대입하면 인성은 "어머니"에 해당합니다. 남녀 모두 인성이 어머니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주에 인성이 강하면, 어머니에게서 안정적인 사랑과 보호를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성이 너무 과하거나 없으면, 그만큼 어머니에..

삼합 이론의 활용(없어도 쓸 수 있다.)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삼합의 이론을 활용하는 한가지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사주명리의 지지 삼합 이론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먼저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2020/03/26 - [사주명리학/십신(十神)과 합충(合沖)] - 삼합의 활용 삼합의 활용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삼합의 1부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삼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부 삼합이란? 1. 오행의 태어남과 죽음 2. 지지의 이중성 3. 삼합이란? 4. 생지, 왕지,..yavares.tistory.com2020/02/29 - [사주명리학/십신(十神)과 합충(合沖)] - 삼합이란? 삼합이란?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천간 합에 이어 지지 합에..

쌍둥이 사주(사주가 같으면? 같은 인생?)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쌍둥이 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들어가며사주에 대해 색안경을 끼고 계신 분들이 많이 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사주가 같은 사람은 똑같은 삶을 산다는 거야? 그게 말이 돼?""그럼 쌍둥이는? 같이 태어났으니까, 똑같이 살고 똑같이 죽겠네?" 그럼"사실은 그게 아닙니다. 실은요..."라고 말머리를 꺼내놓으면, 대번에 "그러니까 사기, 미신 아니야.""거봐. 믿을 것이 못된다니까." 라고 대번에 고개를 저어버립니다. 너무나도 뿌리깊은 편견과 오해가 쌓여서 이런 극단적인 반응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사주 그 자체는 구체적인 인생을 지시하지 않는데도 사주=구체적 인간의 삶 이라는 편견이 깊게 자리잡고 있어서 일반인들은 "용하다며? 맞혀봐!"..

재생관(財生官)과 기부 문화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재생관에 대해 말씀을 드려보겠습니다. 재성은 관성을 생합니다. 이를 "재생관(財生官)"이라고 합니다. 오행의 상생상극 관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쉽게 떠올릴 수 있죠. 일간이 토土인 사람에게 수水는 재성입니다. 수水가 목木을 생하면, 재생관이 되는 것입니다. 사주 원국 내에서 수水와 목木이 유기적으로 조화되어 있으면 재생관이 되는 것이고, 수水만 존재하는데 운에서 목木이 오면 재생관이 운에서 형성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재성이 관성이 생하는 양상을 파악하면 되는데요. 세상에 공짜는 없는법 재성이 관성을 생하게 되면, 재성은 어떻게 될까요? 일반적인 상황에서 재성은 자신의 기운을 관성에게 빼앗길 것입니다. 재성의 기운이 빠..

관성(편관과 정관)의 이해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관성(편관과 정관)의 이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원래 합충에 대해 계속 진행해야 하지만 번뜩 떠오른 아이디어를 적어둘 겸 간단하게 관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관성이란?관성이라는 것은 오행의 상생상극에 의해 나를 극하는 기운을 말합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주에서 일간(日干)이 "나"를 의미하기 때문에 일간을 제외한 나머지 7글자 중에 일간을 극하는 관계에 있는 간지가 있다면 사주에 관성이 있는 것입니다. 만약 일간이 토土라면, 다른 7자중에 토土를 극하는 목木기운이 있다면 관성의 기운을 가진 사주가 되는 것이죠. 2. 관성이 강한 사주관성이 강한 사주의 조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 관성의 개수가 많은 사주 관..

연주상생의 사주<실제상담사례>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실제상담 사례를 통해 연주상생의 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연주상생이란?연주상생이란? 명리학의 고전인 적천수에 언급된 단어로, 사주가 부드러운 순환을 표현한 용어입니다. 단어의 뜻을 보면 연주聯珠 - 구슬을 꿰다상생相生 - 서로 생하다. 즉, 사주 원국의 간지들이 구슬을 꿴듯 서로 매끄럽게 연결된 경우를 말합니다. "상생"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간지들이 서로 생生의 관계를 맺으며 매끄럽게 연결되는 상황을 연주상생이라고 합니다. 마치 구슬을 꿰듯이 간지들이 목생화 - 화생토 - 토생금 - 금생수 이런식으로 순서대로 놓이게 되면 매우 길하다고 본 것입니다. 적천수에서는 연주상생의 예를 들면서, 천간의 예를 들었고, 그 순서도 연간에서 시간..

안개 속을 헤매는 현묘(玄妙)- 독자 여러분께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玄妙)입니다. 오늘은 제 별명인 현묘(玄妙)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현묘"라는 말은 국어사전, 중국어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데요. 사전적 의미는 정도가 됩니다. 대개 현명하다 정도로 의미를 알고 계신데, 실제로는 "그윽하다, 오묘하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그럼 제가 어떻게 현묘라는 별명을 스스로 짓게 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해 잠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이야기 하는 것이 오랜만이네요. 명리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저는 노자의 사상에 취해 있었습니다. 도덕경을 만난 이래로 계속 가방에 도덕경 책을 넣고 다니면서 꾸준히 읽었고, 심지어는 평생 도덕경 책만 읽다가 죽고 싶다고 생각할 정도로 심하게 노자의 사상에 푹 빠져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