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61

신강 혹은 신약 (4)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신강 혹은 신약의 네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하나의 원국에서 신강, 신약을 판별하기 위한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바로 득령/실령, 득지/실지, 득세/실세입니다. 오늘은 신강 신약을 판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본적인 방법(월지와 일지의 활용)신강 신약을 판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전통적인 방법은 이전 시간에 배운 개념인 득령/득지/득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사주 원국을 볼때,1. 득령했는가? yes or no2. 득지했는가? yes or no3. 득세했는가? yes or no 를 따집니다. 그러면 총 여덟 개의 답안이 나오게 됩니다. 하나씩 생각해 보..

신강 혹은 신약 (3)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신강 혹은 신약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득지(得地)와 실지(失地)두 번째로 눈여겨 볼 자리는 바로,일간의 바로 아래에 놓여있는 일지(日支)입니다. 통근에 대해 다룰 때 하나의 천간은 바로 아래에 있는 지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일간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연히 바로 아래에 놓여있는 지지인 일지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인문학적으로 보면,월지는 내가 서 있는 무대가 되고,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날 수 없는 전반적인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지는 내 평생의 파트너이자 맞상대이고, 또 다른 나이자 나의 거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강, 신약을 판단할 때, 일지가 나를 돕고 있는지, 혹은 나의 힘..

신강 혹은 신약 (2)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신강 혹은 신약 두번째 시간으로 본격적으로 일간의 신강과 신강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만약 중요도가 같다면사주팔자 각 자리의 중요도가 같다면, 신강 신약을 판단하는 것이 정말 편할 것입니다. 일지(日支)의 중요도와 시간(時干)의 중요도 연지(年支)의 중요도가 같다면,이들이 일간에게 미치는 영향도가 같다면, 정말 편하게 신강 신약을 계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각 자리마다 중요도가 같다면,일간을 제외하고 총 7개의 자리가 있기 때문에, 인성과 비겁이 네 개 이상이면, 신강식상, 재성, 관성이 네 개 이상이면, 신약 으로 간단하게 분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짐작하시다시피 각 자리의 중요도는 일정하지 않고, 일간에게 영향..

신강 혹은 신약 (1)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부터는 신강 혹은 신약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기준이 생기다.예전에 십신을 다루면서, 드린 말씀을 다시 한번 상기해 보겠습니다. 사주팔자 여덟 글자의 중 일간(日干)이 주체가 되자, 기준점이 생겼고, 기준이 생기자 비로소 관계가 생겼고, 관계가 형성되자 명리학은 비로소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일간을 기준으로 삼으면, 일간은 나머지 일곱 개의 글자와 관계를 맺습니다. 오행의 상생상극에 의해, 관계를 맺고, 그 관계를 주로 육친(六親), 십성(十星), 십신(十神), 육신(六神)이라고 부릅니다. (학파들 마다 명칭은 다르지만 의미하는 것은 같습니다. 저는 십신이 입에 붙었기 때문에 십신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어떻게 부르든 큰..

통근, 투간, 투출이란? (9)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예고한대로 천간에서 극을 받는 경우와 지지의 고립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투간은 잠시 접어두고통근과 투간이 같으면서도 전혀 다른 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하셨다면, 투간을 잠시 접어두셔야 합니다. 투간을 월지의 격을 판단하기 위해 특수하게 마련된 개념으로 본다면,월지의 격을 따지지 않는 입장에서는 굳이 투간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천간과 지지의 호응과, 지지의 상황을 살피기 위해서는 오행의 상생상극으로 주변의 요소와 바로 위 천간과의 관계를 유심히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천간에서는 통근이라는 개념이 있지만,지지에서는 따로이 정의된 개념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이미 투간을 접어두었습니다.) 그냥 별다른 용어 없이 지지의..

통근, 투간, 투출이란? (8)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지지의 투간 두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지지의 투간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보고, 월지를 중심으로 실제 투간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투간의 방법천간의 통근은 지지에 같은 오행이 있거나 생해주는 오행이 있을 경우에 통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십신으로 환산하면, 비겁과 인성이 있을 때 비로소 뿌리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지지의 투간의 경우는 똑같은 간지가 천간에 떠 있을 경우만 투간으로 인정됩니다. 천간의 통근이 비겁과 인성을 포괄하는 것에 비해 지지의 투간은 그 범위가 아주 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천간에 乙(을목)이 있을 때,지지의 지장간에 甲(갑목), 乙(을목), 壬(임수), 癸(계수)가 있으면 모두 통근으로 인..

통근, 투간, 투출이란? (7)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해서 통근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천간에 대한 이해를 하였으니, 이제 지지에 대해 이해해 보기 위해 투간과 투출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굳이 투간을? 왜?맨 처음 통근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천간과 지지의 호응에 대한 말씀을 드렸습니다. 아주 간단하게 말해, 천간과 지지가 잘 호응하면, 그 오행은 힘이 있는 오행이 되고, 천간에 외롭게,지지에 외롭게 존재하게 되면 그 지지는 힘이 없는 오행이 됩니다. 그리고 고립에 대한 말씀을 드리면서,힘이 없는 오행은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 보면,천간의 통근이라는 개념만 잘 적용하게 되면, 굳이 투간(투출)이라는 개념은 다루지 않아도 됩니다. 어차피 통근이라는 ..

현묘의 행복론

제가 늘 염두해 두고 있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첫째는 죽음과 관련한 생각이며,둘째는 남들의 시선(의견)과 관련한 생각입니다. 시간에 대한 생각,죽음, 그리고 사후세계에 대한 생각,영혼에 대한 생각,끝에 내린 결론은 하나입니다. "죽으면 끝이다.그리고 지금 이 시간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슬프지만 이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나의 삶은 내 죽음 이후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어느 누구도 시간을 돌릴 수 없으며, 지나간 삶은 오로지 내 현재에만 영향을 미칠 뿐입니다. 영적인 존재는 없으며, (사주를 공부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신령스런 존재에 대한 생각을 접어야 합니다.) 모든 정신적인 활동은 실질적인 유기체에 기반합니다. 육체 없는 영혼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우리는 모두 죽음으로 가는, 소멸로 가는 기차를..

통근, 투간, 투출이란? (6)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실제 사주를 살펴보면서 통근의 여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예시 사주 (가) 실제 사주입니다. 갑자년 신월에 묘시에 태어난 여성분의 사주를 가져왔습니다. 연간의 甲(갑목)부터 어떻게 통근이 되어 있는지 살펴보시죠. 甲(갑목)이 앉은 자리인 연지에 강하게 뿌리를 내렸습니다. 더할 나위가 없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지지들에서도 강력하게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모든 지지에서 연간의 甲(갑목)을 지원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리고 특징적인 것은 월간의 壬(임수)까지 甲(갑목)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너무 과하다 싶은 정도로 甲(갑목)에게 에너지가 쏠려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월간의 壬(임수)를 살펴보겠습니다. ..

통근, 투간, 투출이란? (5)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오늘은 천간의 고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립이라는 개념은 실제 사주를 간명할 때 아주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반드시 확실하게 정리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통근에 대해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천간의 고립에 대해 다루고, 다음에 투간에 대해 다룰때 지지의 고립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천간의 도움과 지지의 도움하나의 천간이 있는데, 천간에서 도움을 주는 것과 지지에서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도움을 준다는 개념을 다시 정리하면, 주변에 인성과 비겁이 있느냐를 따지는 것입니다. 가까운 지지에 인성과 비겁이 있다면 지지에서 천간을 도와주는 것이고, 이를 통근이라 합니다. 천간이 잘 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