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곡우(穀雨)

안녕하세요. 

 

"안녕, 사주명리"의 '현묘'입니다. 이 공간에서 사주명리를 주제로 차근차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사주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들도 관심을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내일이 '곡우'입니다. 오늘은 24절기, 곡우(穀雨)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곡우는 2019년 4월 20일 하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9년 4월 20일은 곡우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24절기에서 말하는 곡우는 곡우일(4월20일) 부터 입하 이전까지의 기간을 통틀어 곡우라고 합니다.

 

 

곡우의 개요

곡우(穀雨)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해당하는 절기.

양력 4월 20일 무렵.

단어의 의미 :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함.

 

 

곡우의 자연현상

온갖 생물은 훈풍 속에서 고무하고

만물은 곡우 뒤에 소생했도다

 

이덕무 「춘접」『청창관전서』 中

 

봄비가 내려 만물을 소생하게 만든다는 곡우, 곡우 때쯤이면 촉촉한 봄비가 내리고 곡식이 윤택해진다고 합니다. 이름도 곡식의 穀자와 비 雨자를 씁니다.

 

하지만 실제로 곡우에는 가뭄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해의 농사를 좌우하는 봄 가뭄은 모든 농민들을 긴장하게 만듭니다. 그래서 곡우라는 명칭도 실제로 비가 많이 와서 붙은 이름이 아니며, 비가 오기를 바라는 농부들의 간절한 소망이 만든 이름입니다. 

 

雨자가 들어가는 절기는 우수雨水와 곡우穀雨 뿐 입니다. 그만큼 이 시기에 비는 농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곡우에 내리는 비는 모든 만물의 싹을 틔우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곡우에 내리는 비는 서리를 싹 가지고 가는 비입니다. 서리는 여름 작물의 가장 큰 적인데, 곡우를 기점으로 봄 서리가 끝나고 상강을 기점으로 가을 서리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곡우와 농사(볍씨 담그기)

과거에 곡우가 되면 농사에 가장 중요한 볍씨를 담갔습니다. 볍씨가 싹을 잘 틔울 수 있게 볍씨를 소금물에 담가 살균과 살충을 하는 작업을 곡우에 했습니다.

 

볍씨 담그기는 농부에게는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였습니다. 어떻게 해서든 잘 돌봐 싹을 틔워 무럭무럭 자라나게 만들어야 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농부들은 볍씨 담그는 시기에 몸과 마음을 정갈히 하고 부정타는 일을 삼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곡우의 볍씨 담그기와 관련한 많은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1. 볍씨를 담아두는 가마니를 솔가지로 덮어둔다.

2. 초상집에 다녀오거나 부정한 일을 당한 사람은 불위를 건너가거나 집 안에 들어와서 볍씨를 보지 않는다.

3. 부정한 일을 겪었던 사람은 대문간에서 소금을 뿌리거나 쑥을 태운 연기를 이용하여 몸을 정화한다.

4. 곡우날 사시(巳時)에 볍씨를 담그면 볍씨가 떠내려간다고 하여 사시를 피해 볍씨를 담근다.

5. 볍씨를 담그면 항아리에 금줄을 쳐 놓고 고사를 지낸다.

 

 

곡우와 조기

곡우 때가 되면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황해로 북상합니다. 이 시기에 조기가 많이 잡히는데 이 시기에 잡는 조기를 ‘곡우사리’라 부릅니다. '곡우사리'는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습니다.

 

전남 영광에서는 한식사리, 입하사리 때보다 곡우사리 때에 잡히는 조기가 알이 많이 들어 있고 맛이 좋다하여 곡우사리 조기를 가장 으뜸으로 칩니다.

 

 

곡우와 세시풍속

경북 지역에서는 곡우에 부정한 것을 보지 않습니다. 또한 대문에 들어가기 전에 불을 피워 잡귀를 몰아낸 다음에 들어갑니다. 또한 곡우에는 부부가 함께 자는 것을 꺼립니다. 곡우에 부부가 잠자리를 하면 토신(土神)이 질투하여 쭉정이 농사를 짓게 만든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지방에 따라서는 곡우때 물을 맞으면 여름철에 더위를 모르며 신경통이 낫는다고 하여 물을 맞기도 하였습니다.

 

경북 구미에서는 곡우날 목화씨를 뿌리며, 파종하는 종자의 명이 질기라고 찰밥을 해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경남 남해, 전북 순창 등의 지역에서는 곡우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고 하였습니다. 인천 옹진에서는 곡우에 비가 오면 샘구멍이 막힌다-가뭄이 든다-고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경기도 포천에서는 곡우에 비가 많이 오면 풍년이 들고, 비가 적게 오면 가물어서 흉년이 든다고 하였습니다.

 

지역에 따라 곡우에 비가 오느냐 마느냐를 두고 한해 농사를 점쳤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곡우와 관련된 속담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모두 곡우와 농사 혹은 어업에 관한 속담입니다. 속담을 통해서도 곡우와 비, 농사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비가 농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곡우물 (거자수, 다래물, 골리수)

곡우는 비와 관련한 절기이므로 물과의 연관된 이야기가 많습니다. 또한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전국각지에서는 나무의 수액을 채취해 곡우 때 곡우물을 마셨습니다.

 

곡우물은 주로 산다래나 자작나무·박달나무 등에 상처를 내어 거기서 나오는 물을 말합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거자수, 혹은 다래물이라고 부르는 지역도 있으며, 뼈에 좋다고 골리수(骨利水)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곡우물의 효능으로는 여러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1. 목이 쉰 사람에게 좋고, 계절을 타지 않는다

2. 신병이 있는 사람이 병이 낫는다.

3. 경칩 무렵에 나오는 고로쇠물은 여자물이라 하여 남자 몸에 좋고, 곡우물은 남자물이라 하여 여자 몸에 좋다.

4. 무기질이 풍부하여 위장병이나 신경통, 관절염에 효험이 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곡우에 약수제를 지내고, 조정에서 파견된 제관이 지리산 신령에게 다래차(곡우물)를 올리며 태평성대와 그해의 풍년을 기원했다고 하는 풍습도 전해집니다.

 

 

곡우와 우전차

곡우를 기준으로 그 전에 잎을 따서 만든 차를 '우전차(雨前茶)'라고 합니다. 그 후에 만든 차를 '우후차(雨後茶)'라고 하는데, 우전차를 좋은 품질의 차로 봅니다.

 

특별히 곡우날 만든 차는 '곡우차'라고 부릅니다.

 

 

고전에서 보는 곡우

당나라 <구당서(舊唐書)>(945),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1281) 조선의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1444) 등 여러 문헌에 곡우 기간을 5일 단위로 3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1. 초후(初候)에는 연못에서 자라는 일년생 풀 마름에서 싹이 트고,

2. 중후(中候)에는 산 비둘기가 깃털 갈이를 시작하며,

3. 말후(末候)에는 뽕나무를 좋아하는 후투티가 뽕나무에 날아든다.  

 

 

<<참고자료>>

 

『대산주역강의』 김석진

『24절기와 농부의 달력』 안철환

『절기서당』 김동철, 송혜경

다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절기정보 『한국민속대백과사전』-한국세시풍속사전

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 "곡우"

두산백과 "곡우"

다음백과 "곡우"

 

 

Designed by JB FACTORY